원어 항목명 | 民族差別と闘う連絡協議会 |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74년 10월 |
---|---|
원어 항목명 | 民族差別と闘う連絡協議会 |
1974년 일본 오사카부 야오시에서 재일 한인 박종석의 취직 차별 규탄 운동 관계자들이 결성한 인권 단체.
1970년 재일 한인 2세 박종석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 일본의 히타치[日立] 제작소에 취직하기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히타치 제작소는 박종석의 본명이 제출 서류의 일본 이름과 다르다는 이유로 합격을 취소하였다. 박종석은 이에 부당함을 내세우며 복직 요구와 위자료 50만 엔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다. 1953년 이후, 일본 사회에서는 ‘국적 조항’을 ‘당연의 논리’로 내세우며 공공 기관 취업과 사회 보장, 공공 주택 입주 등 다양한 부문에서 재일 한인에게 차별 정책을 취해 왔다. 민간 기업도 암묵적인 국적 조항을 적용해 차별적 취업 정책을 펴고 있었다. 박종석의 소송으로 인해 일본 사회에 그 현실이 알려졌다. 박종석을 돕기 위해 모였던 ‘박군을 둘러싼 모임’은 소송이 종결된 이후인 1974년 10월, ‘민족차별과 투쟁하는 연락협의회’를 결성하였다. 결성 당시의 대표는 재일 한인 목사 이인하와 평론가 사토 가쓰미[佐藤克己], 사무국장은 배중도였다.
재일 한인이 민족 차별 규탄을 위한 투쟁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민족차별과 투쟁하는 연락협의회는 다음과 같은 세 원칙을 내걸었다. 첫째, 재일 한국·조선인의 생활 현실을 바탕으로 민족 차별과 싸우는 실천을 한다. 둘째, 재일 한국·조선인의 민족 차별과 싸우는 각지의 실천을 강화하기 위해서 교류의 장을 보장한다. 셋째, 재일 한국·조선인과 일본인이 공동 투쟁한다.
1975년 제1회 전국 교류 집회를 가지고 재일 2세들이 중심이 되어 도쿄, 가나가와, 아이치, 오사카, 효고, 오카야마, 히로시마, 후쿠오카 등에서 활동하였고, 박종석 소송을 계기로 하여 반인권 차별 철폐 운동을 전개했다. 1970년대부터 아동 수당, 공영 주택 입주, 국적 조항 철폐, 지문 날인 철폐, 전후 보상, 지방 참정권 요구 등 재일 한인의 인권과 관련된 사안을 두고 활동하였고, 일부 요구는 제도적 변화를 통해 쟁취하였다. 1980년대의 지문 날인 철폐, 전후 보상을 요구하는 운동을 비롯해 정주 외국인의 지방 참정권, 국적 조항 철폐 운동을 하였다. 1988년 ‘재일 구 식민지 출신자에 관한 전후 보상 및 인권 보장 법안’ 발표와 운동을 전개하였다.
1990년 고베 대회에서 재일본대한민국민단·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와는 다른 제3의 민족 단체를 요구하는 집단과, 기존처럼 일본인과의 공동 투쟁을 하자는 집단과 의견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후 민족차별과 투쟁하는 연락협의회에서 영향을 받은 몇몇 단체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1995년 재일 한인만을 구성원으로 하는 ‘재일 코리안 인권협회’도 그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