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南北統一促進協議会 |
---|---|
한자 | 南北統一促進協議會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54년 12월 16일 |
---|---|
원어 항목명 | 南北統一促進協議会 |
1954년 재일 한인 사회에서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촉구하기 위해 결성된 통일 단체.
1954년 한국 전쟁의 종결을 위해 제네바 회담이 열리고 네루와 주은래가 평화 5원칙 성명을 발표하는 등 세계적으로 평화와 공존을 지향하였다. 1954년 10월에는 북한에서 ‘남조선 전체 인민에게 보내는 호소문’을 발표해 평화적인 교류를 제기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재일 한인 사회에서는 통일 운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데, 그 첫 조직으로 남북통일촉진협의회가 결성되었다.
남북통일촉진협의회의 강령과 선언문에 의하면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해 사상적 차이를 넘어 동포들이 단결할 것을 강조하였다. 선언문에서는 통일 방책으로 조국의 통일 독립을 실현하기 위해 민족의 대국(大局)에 서서 우리들 스스로 대동단결할 것, 통일 중앙정부는 남북을 통한 자유 총선거에 의해 수립할 것, 자유 총선거와 조국의 통일 독립을 국제적으로 보장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남조선 전체 인민에게 보내는 호소문’은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에게도 전달되었다. 재일 한인 사회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 등 민족계 단체 간부, 중립계 인사, 상공계, 문화계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에게 전달되었다.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은 남일의 호소문을 지지하였으며,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은 이를 반대하였지만 일부는 찬성하였다. 이러한 와중에 1954년 11월부터 통일 운동이 열기가 고조되어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 계열 인사들의 회합이 곳곳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쿄에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 본부의 고위 간부들이 참여한 가운데 좌우 인사들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재일본대한민국민단에서는 권일, 원심창, 배정, 정인훈 등이 참석하였고,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에서는 남호영, 이북만, 이희원, 서종실 등이 참석하였다. 중립계 인사로는 김삼규, 박춘금 등이 동참하였다. 이들은 평화 통일을 위한 단체를 결성하는 데 뜻을 모으고, 먼저 1954년 12월 5일에 남북통일운동준비위원회를 결성하였다. 남북통일운동준비위원회는 좌우 합작의 형식이 아닌 새로 통일 운동 조직체를 만들기로 합의하고 1954년 12월 16일에 히비야[日比谷] 공원에서 기자 회견을 갖고 선언문, 강령을 발표하였다. 이어 1955년 1월 5일에 도쿄 시타야[下谷] 공회당에서 남북통일촉진협의회 전국 발기인 대회를 갖고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1955년 1월 31일에 제1차 중앙협의위원회에서 당면의 운동 방침을 정하였다. 각자 소속된 단체에 소속된 채로 평화적 통일 독립 달성이라는 목표에 찬성하는 경우에는 참여, 동포들이 사는 부현군시정촌 등에 협의 기관을 결성하고 일상생활에 결부된 협의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또 남북통일독립촉진서명운동을 추진하고 3·1절 기념식을 모든 단체와 개인이 합동해서 거행할 것을 정하였으며, 1955년 4월에 전체 협의회를 개최할 것 등을 정하였다. 1955년 2월 7일에는 제1회 중앙상임협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전문 위원회 및 각부 조직 위원을 구성하였다. 전문 위원회는 조직 위원, 선전 위원, 재정 위원, 섭외 위원 분야로 나누었으며, 선전 위원회는 기관지 『총친화(總親和)』를 발간하기로 하였다. 1955년 3월 25일에 제3회 중앙상임협의위원회에서는 협의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일대 민족 운동으로 전개한다는 방침을 정하였다.남북통일촉진협의회는 결성 직후 도쿄도를 비롯하여 오사카부, 가나가와[神奈川]현, 후쿠이[福井]현, 사이타마[埼玉]현에 지방 협의회를 결성하였으며, 효고[兵庫]현, 아이치[愛知]현, 후쿠시마[福島]현, 오카야마[岡山]현, 군마[群馬]현 등지에서도 대회나 간담회를 개최하였다.1955년 6월 24일에 전체 협의회를 도쿄 고쿠데츠[國鐵] 노동 회관에서 개최하고 결성 이후 약 6개월 동안의 활동에 대한 정리 보고와 향우 활동 방침을 발표하였다. 이외에 선언, 강령, 규약에 대한 수정안을 발표하였다. 당면한 운동 목표로 남북 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요구하며 이 실현을 추진하도록 하였다. 또 우리나라 문제에 대한 국제 연합 및 관계 각국 간의 국제회의가 조속히 개최되도록 요청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외국 군대의 총 철퇴를 요구하였다. 더불어 외국의 내정 간섭을 반대할 것과 민족적 총진화를 도모하여 동족 간에 상호 부조의 미풍을 조성하는 등 일본 국민과의 우호 친선을 추진할 것 등을 정하였다. 이날 전체 협의회에서 회명을 남북통일촉진협의회에서 조국통일촉진협의회로 개칭하였다. 이외에 주요 활동으로 대내적으로는 1·30 통일대회 사건을 해결하였으며, 3·1절 기념 중앙대회 개최해 평화적 남북통일 촉진 및 원자 전쟁 반대 서명 운동을 전개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아시아 국제회의 및 반둥 대회에 한반도 문제를 상정하여 논의하게 하였다.
남북통일촉진협의회는 통일 운동사적 측면에서 국내외를 통해 처음으로 좌우 합작이라는 명분 아래 평화 통일을 주장한 단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재일 한인 사회에서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의 대립을 지양하고 친화와 단결을 주장하였다는 점도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