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帰国運動 |
---|---|
한자 | 歸國運動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58년 8월 11일 |
---|---|
원어 항목명 | 帰国運動 |
1958년부터 1959년 사이 북한으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재일 조선인들이 조직적으로 전개한 대규모 대중 운동.
1946년 12월부터 1946년 3월까지 소련[점령] 지역 인양에 관한 미소 협정에 근거하여 재일 조선인이 북한 지역으로 귀국하였다. 1956년 4월 48명의 재일 조선인들이 북한으로의 귀국을 요구하며 일본 적십자사 앞에서 연좌시위를 벌였고, 1956년 12월부터 1957년 3월까지 자비로 귀국하였다.
1958년 8월 11일 재일본조선인총연합(在日朝鮮人総連合) 가와사키[川崎] 지부 나카도메[中留] 분회 소속 재일 한인들이 북한으로 귀국 의사를 표명하면서 귀국 운동이 시작되었다. 집단적귀국결의(集団的帰国決議) 사건이 후인 1958년 9월 8일 북한 건국 10주년 기념 대회 연설에서 김일성 수상이 “재일 조선인의 귀국 염원을 열렬히 환영한다.”고 공언하였고, 16일 남일 외무상이 귀국 후 “생활 안착과 자녀 교육을 전면적으로 보장하겠다.”고 공식 성명하였다. 김일성의 연설 후 귀국 운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발표에 의하면 1959년 1월 말 북한 귀국 희망 재일 조선인은 10만 명을 넘었다. 이에 따라 2월 13일 기시 노부스케[岸信介] 내각은 재일 한인 중 북한 귀환 희망자의 취급에 관한 각의양해(閣議了解)를 채택하였다. 일본 정부의 각의양해를 뒷받침한 것은 초당파 조직인 재일조선인귀국협력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일본인들의 귀국협력운동과 범국민적 여론의 지지였다. 8월 13일 인도 콜카타(Calcutta)에서 귀국 협정이 조인됨에 따라 재일 한인들의 북한으로의 이주가 실현되었다.
귀국 운동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의 차별 정책과 차별로 인한 재일 조선인들의 생활고가 귀국 운동의 원인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다만 귀국 운동에 참여하고 북한으로 이주한 재일 조선인들 중 북한 지역 출신은 2%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본 정부의 차별 정책에 반발한 재일 조선인들의 자발적 운동으로만 해석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1958년이라는 특정 시점에서 갑자기 10만 규모의 귀국 희망자가 돌출한 배경에는 한일 회담 저지를 목표로 한 북한의 대일 정책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조직력의 총동원이 있었다는 점도 확인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