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計劃輸送 |
---|---|
한자 | 計劃輸送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원어 항목명 | 計劃輸送 |
---|
1945년 일본이 패전 직후부터 군이나 정부에 의해 재일 한인을 조직적으로 송환한 정책.
일본은 1937년 중일 전쟁 이후 총동원령을 내리고, 식민지로부터 노무자들을 대거 이입하였다. 전시기와 패전의 혼란 상황에서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패전 무렵 재일 한인의 숫자는 200만 명 내외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패전과 동시에 일본 정부는 한인 군인·군속과 및 전시 동원 노무자를 우선적으로 송환하기로 결정하고, 1945년 9월 1일 전국 지사에 송환 결정을 통달하였다. 하지만 이보다 앞선 1945년 8월 24일, 인원 미상의 한인 송환자 수천 명이 탑승한 우키시마호의 침몰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계획수송은 패전 직후부터 시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이 패전과 동시에 전시 관련 노무자를 즉각적으로 송환시키고자 한 것은 전쟁 책임 회피, 치안 대책 등을 우려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합군 총사령부는 1945년 10월 중순부터 선박의 운용과 통제, 귀환자들의 휴대 재산 제한 등을 정한 송환 방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송환 방침에 따라서 11월 13일 이후 일반 재일 한인의 송환이 시작되었다. 송환은 각 지방 장관의 권한에 의해 지역별로 실시되었고, 친일 단체였던 흥생회와 해방 후 결성된 재일본조선인연맹[조련]이 귀국자 명부 작성 등을 지원하였다. 초기 송환은 12월 말 거의 종료되었다. 연합군 총사령부는 1946년 2월 17일 지령을 내렸는데, 희망자는 3월 18일까지 송환 희망 여부를 등록해야 하고 지키지 않으면 송환의 특권을 잃는다고 하였다. 등록 결과에 의하면 재일 한인 647,006명 중 송환 희망자는 514,060명[79%]이었다. 하지만 연말까지 이어진 실제 송환자는 82,900명으로 희망자 수의 16%에 그쳤다. 송환 희망자와 실제 송환자 수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한반도 정치·경제의 혼란상과 송환시 지참금과 화물의 제한이 큰 이유였던 것으로 보인다. 에드워드 와그너는 일본 정부가 송환 과정에서 총사령부의 지령을 의도적으로 왜곡·위반하고, 재일 한인에게 규정을 충분히 알려 주지 않았다고 지적하였다. 남한 지역으로의 계획 수송은 실질적으로 1946년 연말에 종료되었고, 1947년 3월부터 6월까지 북한 지역으로의 송환이 실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