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상사

원어 항목명 東海商事
한자 東海商事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히라가와정 1-2-2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61년 8월
해체 시기/일시 1999년
최초 설립지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히라가와정 1-2-2
원어 항목명 東海商事
원어 주소 日本国東京都千代田区平河町1-2-2吉田ビル3F
성격 무역 회사
설립자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전화 03-3239-3421
정의

1961년 8월 일본 도쿄에 설립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산하 종합 무역 상사.

개설

북한과 일본 간의 무역을 목적으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가 1961년에 설립한 종합 무역 상사이다. 동해상사는 도쿄[東京]에 본사를 두고 평양과 북경에 각각 지사를 두고, 기계·기구·연료·비료·광석 등의 수출입 사업을 해 왔다. 공식 상호는 ‘동해상사 주식회사’이다.

설립 목적

재일 조선인 상공업자의 수출 사업 및 북한의 경제 건설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61년 8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계 유력 상공업자에 의해 설립된 동해무역주식회사[자본금 1억 2500만엔]가 전신이다. 당시 진행 중이던 북송사업을 배경으로 1961년 12월 북일간 최초로 직항 무역을 시작하였다. 그 후 북일 간의 무역이 확대에 따라, 1964년에 새로운 자회사로서 동해선박주식회사를 설립함과 동시에 1965년과 1973년에 본사의 자본금을 두 차례에 걸쳐 증자하는 등 경영 규모를 확대하였다. 1980년에는 북일 무역 전체 거래액의 1/3이 넘는 수출입 실적[약 349억 엔]을 올리기도 하였다. 1986년부터는 북한 정부와 재일 조선인 상공인 간에 합의된 합작 사업에 근거해 북한 현지의 공장 건설과 경영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일 교역이 급격히 퇴조했고, 1999년에 도산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북한과 일본 간의 직항 무역 및 제3국을 경유한 간접 무역 등이 주요 업무이다. 수입품에 아연, 마그네사이트, 활석, 각종 수산물 등이 있었다. 수출품에는 철강, 건설 자재 등이 있었다. 북한과의 합작 사업에 근거해 북한 현지 공장 건설 및 경영에 관여하였다. 1980년에는 조선 로동당 제6회 대회에서 사용되었던 각종 기재의 조달을 담당하는 한편, 북한으로부터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에 보내졌던 물품들도 일본으로 운반하는 등 북한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간의 연락 루트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1986년에 북한 정부와 재일 조선인 상공인의 합작 사업이 합의된 이후에는 공장 건설에 필요한 자재와 기계 등을 북한에 수출하였고, 합작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일본으로 수입하였다. 북한의 합작 사업의 목적은 해외 자본과 기술의 유치였다. 하지만 사실상 그 대상이 일본, 그 중 재일 조선인 상공인에 집중됨에 따라 당시부터 동해상사를 중심으로 한 북일 간의 무역이 ‘조조 무역(朝朝貿易)’로 불려졌다.

현황

동해상사의 활동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북일 관계의 후퇴와 교역의 퇴조 속에 위축되어 왔다. 특히 일본 공안 당국으로부터 북한 정부가 요구하는 군사 전용이 가능한 일본제 공업 부품을 부정 수출하였다는 혐의를 받아왔다. 이 때문에 일본 당국의 동해상사에 대한 단속과 규제가 확대되었다. 2017년 현재까지 동해상사는 재일 조선인 상공인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종합 상사이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공식 사이트와 공보물에 명기되어 있지만 1999년 이후 사실상 도산 상태에 있다. 동해상사가 수행해 온 업무의 일부는 다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산하의 다른 상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동해상사는 냉전기 일본의 대북 교역의 물고를 트는 역할을 해고, 직접, 간접 무역의 창구로서 국교가 북한과 일본의 경제 교류를 주도해 왔다. 또한 재일 상공인들의 북한 경제에 대한 기여 또한 동해상사를 통해 이루어져 왔다. 다만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산하 조직이었던 만큼 그 사업 내용은 경제적 활동에만 머물지 않았고 북한의 대일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아왔다. 북일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 한 동해상사의 긍정적 역할 또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참고문헌
  • 『총련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신보사, 2005)
  • 『朝鮮関係団体要覧』(公安調査庁, 1964)
  • 『在日コリアン辭典』(明石書店,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