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혁제

원어 항목명 尹赫済
한자 尹赫濟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오사카부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尹赫済
성격 노동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일본 오사카 지역에서 활동한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가이자 사회 운동가.

개설

윤혁제는 일본 오사카[大阪]로 건너가 조선인연맹(朝鮮人聯盟)에서 활동한 노동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윤혁제는 고제균(高濟均), 김종명(金鍾鳴) 등과 함께 1926년 1월 3일 일선융화(日鮮融和)를 주창한 단체인 선우회(善友會) 발회식장에서 이를 폭로하고 총재 이선홍(李善洪)을 구타하여 한때 일제 경찰에 검거되었다. 또한 이즈음부터 무정부주의자 김돌파(金突破)의 영향 아래 있던 오사카시[大阪市] 니시노다[西野田]의 조선인 단체인 신진회(新進會)에서 상무위원으로 활동하다가 5월 오사카경찰서의 검거 선풍에 휘말리기도 하였다. 이후 신진회 회장 이춘식(李春植) 차가(借家) 분쟁에 개입하여 입퇴료(入退料) 등에서 사기를 치고 협박한 사실이 드러나자, 고순흠(高順欽)과 함께 아세아민족대회 반대운동을 제창하고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간사이연합회[關西聯合會]와 제휴하여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신진회 조직을 위원회제로 바꾸어 재정비하고 회보 발행을 계속하며 일제의 한일병합(韓日倂合)과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무산 계급의 단결을 고조시키는 등 민족적·계급적 입장을 강화시키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7년 이래 오사카 조선노동조합[大阪朝鮮勞動組合]과 신간회(新幹會) 오사카지회가 설립되자 윤혁제는 간부로 활동하였다. 1928년 오사카 조선노동조합 서부지부 쟁의부장, 1929년 신간회 오사카지회 대표위원 후보,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29년 들어 실업 문제가 심각해지자 일각에서 재일 조선인 노동자의 본국 송환 문제를 제기하자 비판하는 유인물을 배포하였다가 한때 일제 경찰에 검거되었다. 1929년 2월 한글로 언론·집회·결사·출판의 자유 획득을 부르짖고 민족 차별을 배척하며 신간회 오사카지회 제2회 정기 대회를 선전하는 내용의 「선전(宣傳)」을 발행하였다가 2월 7일 차압당하였다. 3월 13일 신간회 오사카지회 간부로서 한글로 발표한 「성명서」 역시 6월 11일 일제 당국에 차압당하였다.

1929년 말부터 1930년 초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로의 합동 해소를 둘러싸고 혼란이 거듭될 때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 조선인위원회 측으로부터 김문준(金文準) 파로 비판을 받아 중상(中傷)을 입기도 하였다. 윤혁제의 사상은 무정부주의, ML계 공산주의 등 다양하게 평가되어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에 가입하지 않았던 것은 분명하다. 당시 오사카 조선노동조합이나 신간회 오사카지회의 사상적 성향 역시 무정부주의에서 벗어나 있었다.

이후 오사카 지역 조선인의 생활권 옹호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1929년 조직된 오사카조선노동소비조합[大阪朝鮮勞動消費組合]의 감사를 거쳐 1930년 4월 오사카조선노동소비조합이 개칭한 대동소비조합(大同消費組合)의 이사를 역임하였다. 1930년 오사카의대 출신 정구충(鄭求忠) 등을 중심으로 설립된 실비진료소인 오사카조선무산진료소[大阪朝鮮無産診療所]에도 간부로 참여하였다. 1931년 9월 폐쇄된 오사카조선무산자진료소의 관리위원회 위원으로서 1932년 1월 13일 위원회를 개최하여, 조선무산자진료소의 잔여 재산 전부[1,487원]를 조선인 무산자에 대한 편의 제공을 조건으로 오사카무산자진료소에 기부하기로 하였다. 1932년 3월 일본 내 좌파계열 소비조합의 전국 조직으로 탄생한 일본무산자소비조합연맹(日本無産者消費組合聯盟)에 김태욱(金台郁)·김경중(金慶中) 등과 함께 집행위원으로 참여하였다. 1933년 조선인 친목 단체인 성천친목회(聖天親睦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자료집: 재일본한국인민족운동자료집』별집3(독립유공자사업기금 운용위원회, 1978)
  • 정혜경, 「1930년대 초기 오사카[大阪] 지역 협동조합과 조선인 운동」(『한일민족문제연구』1, 한일민족문제학회, 2001)
  • 『동아일보』(1926. 1. 12, 1926. 5. 28, 1929. 1. 18, 1929. 7. 19, 1929. 11. 1, 1930. 2. 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近代日本社會運動史人物大事典』1(日外アソシエ−ツ, 1997)
  • 『朝鮮出版警察月報』6(1929. 2. 7)
  • 『朝鮮出版警察月報』10(1929. 6. 1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