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존이

원어 항목명 高尊伊
한자 高尊伊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6년 1월 2일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남도 울산군 농소면 창평리
거주|이주지 일본 히로시마현 야마가타군 야스노촌
학교|수학지 대한민국 경상남도 울산군 농소면
활동지 일본 히로시마현
원어 항목명 高尊伊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일본으로 건너가 노동에 종사하였던 재일 조선인 항일 운동가.

활동 사항

고존이는 1896년 1월 2일 빈농(貧農) 집안에서 태어나 고향인 울산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농업에 종사하였다. 1910년대 20세 무렵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大阪], 교토[京都] 등지를 전전하면서 노동에 종사하였다. 1944년 2월 히로시마현[廣島縣] 야마가타군[山縣郡] 야스노촌[安野村]의 수력발전소 건설 공사 현장의 조선인 노무자 세와야쿠[世話役, 십장]으로 취업하였다. 공사 현장에는 집단이입(集團移入) 조선인 노무자와 일반 조선인 노무자가 800명 정도 있었다.

고존이는 1944년 10월부터 1945년 4월 사이 도쿠가와한바[德川飯場]에서 다수의 재일 조선인에게 종종 “이번 전쟁은 세계를 상대로 하고 있어서 전쟁이 계속되면 일본은 물자가 부족해져서 지게 되고 미국이 승리하게 될 터인데, 미국은 조선을 독립시켜 줄 것이다.”라고 얘기하였다. 그런데 공사장이 다른 데보다 작업이 많이 지연되고 있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일제 당국이 원인을 조사하면서 이른바 불량 조선인 세와야쿠와 한바가시라[飯場頭] 때문에 작업 능률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라는 소문을 입수하여 상세한 조사에 착수하였다. 고존이에 대해서는 히로시마현경찰부[廣島縣警察部]에서 조선독립운동 용의자라 하여 특별히 내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내용을 정리하여 내무성 경보국장(警保局長) 및 히로시마지방재판소[廣島地方裁判所]에 별도로 보고하였다. 보고 이후 단지 조사에만 그쳤는지 고존이 등이 이후에 검거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참고문헌
  • 『近代日本社會運動史人物大事典』3~4(日外アソシエ−ツ, 1997)
  • 「治安維持法(朝鮮獨立)違反容疑者內偵ノ件」(廣島縣警察副長, 1945. 6. 2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