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장복

원어 항목명 宋章福
한자 宋章福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오사카부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宋章福
성격 노동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일본 오사카부에서 활동한 공산주의 계통의 재일 한인 노동 운동가.

활동 사항

송장복은 1922년 12월 결성된 오사카 조선노동동맹회 초대 위원장에 취임하는 등 오사카에서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 초기부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공산주의 계통의 오사카 조선노동동맹회는 오사카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조선인 노동자 단체로 계급적 강령을 내걸었다. 1925년 2월 도쿄와 오사카의 조선노동동맹회가 중심이 되어 조선인 노동 단체를 규합해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재일노총]이 조직되었다. 7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에 참가한 오사카의 노동 단체들이 모여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오사카연합회를 결성할 때 설립준비위원을 맡았다. 오사카연합회 안에서 당초 무정부주의 계열의 간부와 대립이 있었지만 영향력을 잃지는 않았다. 오사카연합회 성립을 전후해 창설된 오사카 조토[城東]조선노동동맹회, 고베[神戶]조선노동동맹회, 오사카 쓰루마치[鶴町]조선노동조합 등에서도 간부로 일하였다. 그로 인해 송장복은 오사카, 고베 등에서 조선인 노동자의 조직화를 위해 진력한 것으로 보인다. 1928년 4월 오사카연합회를 일반 노동조합으로 개편해 오사카 조선노동조합이 설립되면서 집행위원장에 취임하였다. 하지만 5월 건강이 악화되어 사임하였고 11월 쇼와[昭和] 천황 즉위식을 맞아 검속되었다. 1929년 4월 오사카 조선노동조합 제3회 대회 때 서부지부 위원으로 정치부를 담당하고, 신간회 오사카지회에서도 활동하였다. 그런데 코민테른의 1국1당 원칙에 따라 1920년대 말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은 조직을 해소한 뒤 조선인 노조원들은 일본 공산당 계열의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전협]에 가입한다는 방침이 세워졌다. 당시 송장복이 어떤 입장이었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에서는 활동하지 않았다. 다라칸[ダラ幹, 타락한 간부라는 뜻]으로 비판받아 실각하였다는 설도 있다.

송장복은 오사카 조선노동조합 서부지부의 활동가와 함께 대동(大同)소비조합을 만들어 재일 조선인 독자의 조직을 유지하며, 1930년 2월 오사카 조선무산자진료소의 운영에 관여하는 등 오사카에 거주하는 재일 조선인들의 생활을 지켜내는 데 힘썼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大正十四中ニ於ケル在留朝鮮人ノ狀況』(1925)
  • 『大正十五中ニ於ケル在留朝鮮人ノ狀況』(1926)
  • 『社会運動の狀況』(内務省 警保局, 1931)
  • 『近代日本社会運動史人物大事典』(日外アソシエ−ツ, 199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