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범

원어 항목명 朴柱範
한자 朴柱範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5년
몰년 시기/일시 1949년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오상리
원어 항목명 朴柱範
성별
정의

1948년 한신 교육투쟁 때 체포되어 희생된 재일 한인 운동가.

활동 사항

박주범은 1885년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오상리에서 태어났다. 1927년 일본에 건너가 효고현[兵庫縣]에서 살았다. 1930년대 초 기독교 감리회 신도로서 교회 일을 하면서 재일 한인들의 생활을 옹호하기 위한 한신[阪神]소비조합 설립에 참여해 대회 부의장, 이사, 모리[森]배구소의 책임자 등을 역임하였다. 1941년경 아라이구미[新井組]를 설립해 토목 사업을 하였는데 재일 한인들의 신망이 두터웠다. 1937년과 1942년 혼조무라[本庄村][현 고베시[神戶市] 히가시나다구[東灘區]] 촌회[村會] 의원에 당선되었다. 해방 후 재일본조선인연맹[조련]의 한신 지부장이 되었고, 2년 후 재일본조선인연맹 효고현 본부의 위원장에 취임하였다. 위원장에 재임 중이던 1948년 조선인 학교 강제 폐쇄에 반대하는 한신 교육투쟁이 일어났다. 박주범재일본조선인연맹의 효고현 지역 책임자로 체포되어 군사 재판[B급=일반 군사 재판]에 회부되었는데, 당시 암 때문에 요양 중이라 한 번도 법정에 나가지 못한 채 7월 19일 중노동 4년 9개월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가혹한 수감 생활로 병이 악화되어 1949년 11월 25일 오후 8시 위독한 상태에서 가출옥 처분을 받았다. 하지만 4시간 후인 11월 26일 오전 0시에 사망하였으므로 사실상 옥중사였다. 박주범의 장례식은 11월 30일 니시고베[西神戶]조선소학교에서 1만 5천 명이 모여 인민장으로 거행되었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4·24阪神敎育闘争: 民族敎育を守った人々の記錄』(ブレーンセンター, 1988)
  • 『在日朝鮮人民族敎育擁護鬪爭資料集』1(明石書店, 198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