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득룡

원어 항목명 朴得龍
한자 朴得龍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8년 10월 2일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
원어 항목명 朴得龍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일본적색구원회 등에서 활동한 재일 조선인 활동가.

활동 사항

박득룡은 1908년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 얼마되지 않아 아버지가 사망하자 가난 속에 자랐다. 보통학교를 마친 후 서울의 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해 공부하다가 1926년 일본 도쿄도에 건너가 와세다[早稻田]대학 전문부 정치경제학과에 들어갔지만 학비를 내지 못해 퇴학하였다.

박득룡은 인정식 등과 교류하면서 사회 운동에 참가해 공산주의 사상을 가지게 되었다. 1927년 4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재일노총]에 가입하였고, 1928년 3월 재일본조선청년동맹[조청] 도쿄지부에 들어가 조직선전부 책임자가 되어 기관지 『청년 조선』을 편집하였다. 1928년 3월 인정식의 권유로 고려 공산청년회[공청] 일본부에 가입하고, 5월 도쿄 다카다[高田] 야체이카의 책임자가 되서 아울러 고려 공산청년회의 재일본조선청년동맹 안에 프랙션을 구성하였다. 6월 오사카로 파견되어 고려 공산청년회 일본부의 오사카 야체이카를 조직하였지만 8월부터 시작된 조선 공산당 일본총국에 대한 탄압에 의해 검거 기소당하였다. 1931년 3월 제1심 판결에서는 징역 3년 6개월을 받았는데, 당시 이미 보석되어 있었다.

1931년 일본 공산당에 입당하고 좌익 운동가들의 구원을 위해 활동하는 일본적색구원회[적구]의 프랙션을 담당하였다. 당초 일본적색구원회 도쿄지방위원회 조사이[城西] 지구 소속이었지만, 9월 본부 소속이 되고 동시에 나고야[名古屋] 지방의 조직 재건에 노력하였다. 1932년 3월 일본적색구원회 전국대회에 나고야 지방 대표로서 참가하였다. 5월 다시 도쿄지방 조직부원이 되고, 7월 일본적색구원회 식민지대책부가 설치되어 부원으로서 여러 조사 활동을 당담하였다. 1933년 4월경 일본적색구원회 중앙구원위안부원이 되었다. 특히 형인 박득현 등과 함께 조선 공산당 일본총국 사건의 공판 투쟁에 참가하였다. 박득룡도 연루된 탄압 사건으로 인해 1932년 8월 제2심 판결이 내려져 다시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1933년 9월 박득현 등 다른 일본적색구원회 회원과 함께 재차 검거되었고 이후 전향해 조선으로 돌아왔다.

참고문헌
  • 「朝鮮共産黨 日本總局事件 豫審終結決定書全文」1~19(『조선일보』, 1930. 8. 30~9.24)
  • 『社会運動の狀況』(内務省 警保局, 1930, 1932, 1933)
  • 『近代日本社会運動史人物大事典』(日外アソシエ−ツ, 199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