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鄭輝世 |
---|---|
한자 | 鄭輝世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906년 1월 9일 |
---|---|
활동 시기/일시 | 1927년 3월 |
활동 시기/일시 | 1927년 12월 10일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5월 14일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7월 |
활동 시기/일시 | 1929년 3월 |
활동 시기/일시 | 1929년 4월 |
활동 시기/일시 | 1931년 5월 15일 |
몰년 시기/일시 | 1931년 11월 24일 |
추모 시기/일시 | 2006년 |
원어 항목명 | 鄭輝世 |
성격 | 노동운동가 |
성별 | 남 |
1920~1930년대 일본에서 활동한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가이자 항일 운동가.
정휘세는 1927년부터 1931년까지 일본 교토에서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교토조선노동조합, 신간회 교토지회, 교토조선청년동맹 등의 간부로 활동하였다. 1928년부터 고려 공산청년회 일본총국에 가입하여 조직 활동을 벌이다가 체포되었다. 1931년 징역 3년을 언도받고, 복역 중이던 11월 사망하였다.
정휘세는 1927년 3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교토[京都]조선노동조합 정기총회에서 상임서기로 선출되었다. 12월 10일 신간회 교토지회 제2회 정기 대회에서 총무부 간사로 선출되었다. 1928년 1월 28일 교토조선청년청년동맹 창립총회에서 임시의장을 맡았다. 1928년 4월부터 고려 공산청년회 간사이지구 임시위원회 조직부장에 임명되었고 5월 14일 도쿄에서 열린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제4회 전국대회에서 자격심사위원과 전형위원으로 활동하였다. 7월 1일 교토조선노동조합 내에 청년부를 창립하였고, 7월 초순 교토에서 고려 공산청년회 교토야체이카 책임자 도재기(都在琪)의 권유로 고려 공산청년회에 가입하였다. 1929년 3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교토조선노동조합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4월 고려 공산청년회 일본부 간사이구역국[교토구역국]의 선전부원, 조직부원, 책임자로서 교토와 오사카(大阪) 각 지부의 야체이카를 지도하였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교토[京都]지방재판소에서 징역 3년을 언도[미결구류 270일 포함]받고 복역중이던 1931년 11월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정휘세의 공적을 기리어 2006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