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마 지로

원어 항목명 飯沼二郞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8년
몰년 시기/일시 2005년 9월 24일
원어 항목명 飯沼二郞
성격 사회운동가
성별
정의

1900년대 농업경제학 전문가로 연구 활동을 하며 재일 한인의 인권 옹호에 앞장선 농학자이자 시민운동가.

개설

이누마 지로는 농업경제학 전문가로 일본형농업의 복권을 제창하는 한편 베트남 반전이나 재일 한인의 인권 옹호, 기미 가요 소송 등 폭넓은 시민운동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활동 사항

이누마 지로는 1918년 일본 도쿄도에서 태어나 원예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41년 교토제국대학[京都帝国大學] 농학부 농림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농림성 농업기술연구소 기관(技官) 등을 거쳐 1954년부터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에서 1981년까지 연구 활동을 하였다. 오쓰카사학[大塚史學]을 바탕으로 『농업혁명론』[1956]을 발표하고, 농업 발전을 풍토와 관련하여 보는 농업발전론을 전개하였다. 1965년 8월부터 ‘베트남에 평화를’이라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소수의 시민과 함께 교토 시내에서 시위 행진을 시작하였는데 간사이[關西]에서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베평련]’ 운동의 발단이 되었다.

1969년 한국인 병역 거부자 석방 운동에 합세하여 쓰루미 슌스케[鶴見俊輔] 등과 함께 조선인사(朝鮮人社)를 주재하면서 잡지 『조선인-오무라수용소를 폐지하기 위해』를 간행하였다. 이후 기미 가요 소송을 제기하여 원고 측 단장이 되었고, 또한 원폭 그림전 개최, 재일 코리안 장애자의 법적 구제[무연금 문제] 등도 제기하는 등 시민의 시각에서 시민적 자유와 마이너리티의 인권 문제에 매진하였다.

저술 및 작품

이누마 지로의 저서로는 1983년 『내가 걸은 현대[わたしの歩んだ現代]』, 1993년 『조선총독부 미곡검사제도[朝鮮総督府の米穀検査制度]』, 1994년 『이누마 지로 저작집』, 편저로 1984년 『재일 조선인을 말한다1 : 70만 명의 궤적[在日朝鮮人を語る1 : 七十万人の軌跡]』, 『재일 조선인을 말한다2 : 재일의 문화와 사상[在日朝鮮人を語る2 :在日の文化と思想] 』, 1988년 『재일 한국·조선인: 일본 사회에서의 존재 가치[在日韓国·朝鮮人 : その日本社会における存在価値]』 등이 있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京都新聞』(2005. 9. 25)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