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高瀛豪 |
---|---|
한자 | 高瀛豪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920년 12월 16일 |
---|---|
활동 시기/일시 | 1983년 |
활동 시기/일시 | 1990년 |
몰년 시기/일시 | 2004년 2월 24일 |
원어 항목명 | 高瀛豪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1930년대 말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독립청년당에서 활동한 재일 조선인 독립운동가.
고영호는 1920년 12월 16일 북제주(北濟州)에서 제주목 주사 고성현(成鉉)의 3남으로 태어났다. 3세 때 아버지를 잃었고, 1934년 구우(舊右) 공립보통학교[현 한림초등학교]에 입학하였다. 6학년 때 일본인 교장 나카야마 시게요시[中山重義]가 조선어 사용 억제 방침을 강화하자 격분하여 항의하였고, 정학 처분을 받기 직전 맏형이 사는 일본으로 건너갔다. 고영호는 오사카심상고등소학교의 학생으로 학업을 닦으면서 한때 노동 현장에 뛰어들어 고학도 하였다.
고영호는 오사카의 니혼대학 오사카 중학교[야간]를 졸업하고 1942년 동지 윤병윤(尹炳允), 김규성(金奎成), 한종치(韓宗治), 정진환(鄭鎭煥), 하백문(河伯文), 이행철 등과 오사카시 히가시나리쿠[東成區] 오이마리[大今里] 177번지에서 비밀리에 모여 민족의식 고취, 독립 국가 건설을 서약하고 조선독립청년당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43년 3월 메이지[明治]대학 재학 중 활동 내용이 일본 경찰에 탐지되어 윤병윤 등 6명과 검거되어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다. 고영호는 1944년 1월 28일 오사카지방재판소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고영호는 2004년 2월 24일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고영호의 공훈을 기리어 1983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