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山辺健太郎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905년 5월 20일 |
---|---|
몰년 시기/일시 | 1977년 4월 16일 |
출생지 | 일본 도쿄도 혼고구[현 분쿄구] |
원어 항목명 | 山辺健太郎 |
성격 | 역사학자 |
성별 | 남 |
1900년대 일본 사회주의 운동사와 조선 근대사, 일한 관계사를 연구한 일본의 역사 연구자.
야마베 겐타로는 공산주의 활동가이자 조선 근대사, 일본 사회주의 운동사 연구자이다. 1905년 일본 도쿄도에서 태어났지만 출생 직후 부모의 이혼으로 도쿄를 떠나게 되었다. 서울에서도 잠시 동안 생활한 적이 있었다. 고등 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어 심상(尋常)학교 졸업 후 유명한 서점인 마루젠[丸善] 오사카 지점에서 일하였다. 그동안 선교사에게 영어를 배우고, 사회주의 문헌도 접하게 되었다. 1921년 오사카에서 메이데이에 참가해 사회주의 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였다. 1929년 4월 16일 일본 공산당에 대한 일체 탄압이 이루어질 때 검거되어 실형 판결을 받고 복역하였다. 출옥 후에도 운동을 계속하였으나 1940년 치안유지법으로 검거된 이후 전향하지 않고 1945년 10월까지 예방구금소(予防拘禁所)에 수감되었다. 예방구금소에서 암을 앓고 있던 김천해(金天海)와 알게 되어 김천해를 돌봤다고 스스로 밝혔다.
1945년 10월 정치범으로 해방되었다. 이후 일본 공산당이 합법화되며 일본 공산당의 전속 활동가로 당사(党史)의 편집과 기관지 『전위(前衛)』의 편집 위원 등을 맡았지만 1958년 이후 당을 떠나 연구에 전념하였다.
역사 연구로 정리된 성과는 주로 일본 사회주의 운동사와 조선 근대사, 일한 관계사 연구이다. 조선과 관련된 연구 성과는 이미 1950년대부터 학회지 등에 발표되었고, 1966년 『일한합병소사(日韓併合小史)』와 『일본의 한국합병[日本の韓国併合]』, 1971년 『일본통치하의 조선[日本統治下の朝鮮]』 등을 펴냈다. 연구의 특징은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조선 침략 과정, 식민지 지배의 실상을 일본인 군인, 정치가 등이 소장하고 있는 사료, 즉 침략을 행한 측의 사료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밝혔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지배에 대한 조선의 민족적 저항에 대한 사실(史実)도 기술하였다. 동시대에 있어 조선사, 일한 관계사 연구를 하는 연구자의 수가 적은 한편, 일본이 조선의 근대화에 조력하였다는 등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개선되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일본인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가운데 이루어진 실증적 역사 연구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950년대부터 역사학 연구자와 조선사연구회에 모인 재일 한인과 당시의 젊은 일본인 연구자들과의 교류를 가지며 후진 연구에 자극을 주었다. 이러한 교류와 야마베 겐타로의 개성적인 인격은 도오야마 시게키[遠山茂樹]외 편 『야마베 겐타로-회고와 유문[山辺健太郎-回想と遺文]』에 적힌 관계자의 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야마베 겐타로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66년 『일한합병소사』·『일본의 한국합병』, 1971년 『일본통치하의 조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