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鄭煥麒 |
---|---|
한자 | 鄭煥麒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24년 |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
활동 시기/일시 | 1987년 |
몰년 시기/일시 | 2017년 5월 19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양군 |
원어 항목명 | 鄭煥麒 |
성격 | 기업가 |
성별 | 남 |
1924년 경상남도 진양군에서 출생하여 일본에서 자수성가한 재일 한인 기업가이자 사회 활동가.
정환기는 1924년 2월 21일 경상남도 진양군에서 태어났다. 1927년 3세 때 흉년으로 먹고살기 어렵자 아버지를 따라 일본으로 건너가 나고야현에 정착하였다. 1941년 나고야 고다마[兒玉]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양복점 점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였다.
정환기는 해방 후 기성복 판매를 비롯한 수많은 사업에 종사하였다고 전한다. 대표적으로 와카바[若葉]자동차, 고하쿠[琥珀] 등을 설립하였다.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활동에 초기부터 깊이 관여하였다. 정환기가 21세 때 재일본조선인연맹이 결성되었는데 처음에는 재일본조선인연맹에 우호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재일본조선인연맹이 좌경화되자 탈퇴하였다. 1946년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의 전신인 신조선건설동맹이 결성되자 참여하였다. 이후 아이치상은[愛知商銀] 이사장,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아이치현[愛知縣]본부 단장, 아이치한국학원이사장,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중앙본부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이외에도 한국학원 이사장, 고하쿠그룹 회장, 신한은행 감사, 신한은행 주주 간친회장, 진주교육대학교 가정정환기장학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1998년 5월 한국 진주교육대학교에 발전 기금을 기부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진주교육대학교에서는 교직원의 연구 활동 지원과 학생의 장학 사업을 위해 재단 법인 진주교육대학교 정환기 학술연구재단을 설립하였다. 당시 정환기는 “국가와 지역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해 인재를 길러 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초등 교육이 제 기능을 다해야 한다.”고 하면서 “앞으로도 초등 교육 발전에 뒷받침이 되도록 발전 기금을 희사하겠다.”고 밝혔다. 정환기는 2017년 5월 사망하였다.
정환기의 작품으로는 1990년 『재일을 산다[在日を生きる]』, 1996년 『재일채채(在日彩彩)』上·下, 2000년 『정환기수상록(鄭煥麒随想録)』 등이 있다.
정환기는 충청남도 천안시 국립 망향의 동산 재일 동포 전용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진주교육대학교에 정환기동산과 정환기기념관이 있다. 정환기는 1987년 대한민국 국민 훈장 무궁화장을 수훈하였으며, 2009년 진주시민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