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金義煥 |
---|---|
한자 | 金義煥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25년 1월 24일 |
---|---|
수학 시기/일시 | 1942년 |
수학 시기/일시 | 1945년 |
수학 시기/일시 | 1954년 |
활동 시기/일시 | 1974년~1978년 |
활동 시기/일시 | 1980년~1982년 |
활동 시기/일시 | 1961년~1977년 |
활동 시기/일시 | 1963년~1978년 |
활동 시기/일시 | 1968년~1978년 |
활동 시기/일시 | 1970년~1977년 |
활동 시기/일시 | 1974년~1977년 |
몰년 시기/일시 | 1992년 6월 26일 |
추모 시기/일시 | 1993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군 |
원어 항목명 | 金義煥 |
성격 | 역사학자 |
성별 | 남 |
1950년대 이후 부산과 일본에서 활동한 역사학자이자 교육자.
김의환의 부인은 박의순(朴義順)이고, 아들은 김정표(金政彪)와 김기우(金基宇)이다. 딸은 김남선(金南仙), 김남동(金南童), 김기홍(金基弘)이다.
김의환은 1925년 1월 24일 경상북도 문경군에서 태어났다. 1940년 만주 신경[현 장춘]의 영락국민학교 고등과에 진학하여 1942년 졸업하였다. 1945년 공주영농업학교 제2본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문리과 대학 사학과에 진학하여 1954년 졸업하였다. 이후 중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 진학하여 1960년 수료하였다. 1948~1950년 부산 금성중학교, 1954~1956년 부산 평화고등학교[현 부산동고등학교], 1956~1963년 부산공업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1963~1974년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부경대학교에 통합] 교수, 1974~1978년 부산여자대학[현 신라대학교] 교수, 1980~1982년 부산산업대학[현 경성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또한 1961~1977년 한국사상연구회 편집 위원, 1963~1978년 부산시사 편찬 위원, 1968~1978년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조사 집필 위원, 1970~1977년 한국일본문제연구소 부회장 및 영남대학교 한일관계연구소 특별 연구원, 1974~1977년 부산시 문화재전문위원을 지냈다. 1968년 이후 한국사연구회, 1970년 이후 한국경제사학회 및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일본에서도 강의를 하였는데, 1977년부터 10년 동안 나라시[奈良市] 데즈카야마[帝塚山]단기대학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1984년 규슈대학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0~1982년 규슈대학 문학부 조선사학과에서 강의를 하였다. 이 시기에 김의환은 한국 근현대 민족 운동사, 한일 관계사, 부산 지역사 연구에 매진하여 큰 업적을 남겼다. 김의환은 1992년 6월 26일 사망하였다.
김의환의 주요 저서로는 『동학 성립의 연구』[문종사, 1959], 『우리나라 근대화사 논고』[삼협출판사, 1964], 『안용복 장군 약전』[안용복장군기념사업회, 1966], 『조선 대일 교섭사 연구』[통문사, 1966], 『부산 근대 교육사』[태화출판사, 1967], 『부산 근대 공업 발달사 연구』[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 1969], 『부산의 고적과 유물』[아성출판사, 1969], 『부산 지방의 지명의 유래』[태화출판사, 1970], 『도서 해제』부산시립도서관 귀중본 1~4, [부산시립도서관, 1969~1971, 1974], 『우리나라 근대 기술 교육사 연구』[박영사, 1971], 『조선을 둘러싼 근대 러일 관계의 연구』[한국국회도서관, 1972], 『한국 근대사 연구 논집』[성진문화사, 1972], 『인간 이순신전』[연문출판사, 1972], 『부산 근대 도시 형성사 연구』[연문출판사, 1973], 『조선 근대 대일 관계사 연구』[경인출판사, 1973], 『국사 개설』[박영사, 1971~1976], 『전봉준 전기』[정음사, 1974], 『의병 운동사』[박영사, 1974], 『항일 의병장 별전』[정음사, 1975], 『국사 통론』[형설출판사, 1976], 『고대 조선 문화사』[동아시아문화연구회, 1982], 『조선 문화사 신강』[동양서원, 1985]이 있고, 『부산 약사』[부산시사편찬위원회, 1965]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서세 동점」[『신인간』21, 1961]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