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용

원어 항목명 金斗鎔
한자 金斗鎔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일본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3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흥시
원어 항목명 金斗鎔
성격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일본과 북한에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

개설

김두용은 1903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출생하였다. 일본에서 중고등학교 시절을 보내고 재일 한인 노동 운동, 공산주의 운동, 문예 운동 등에 참가하였다. 해방 공간 일본에서 공산주의자로 일본 공산당원으로 재일 한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48년 북한으로 가서 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중 한 사람으로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김두용은 일본으로 건너간 후 구제중학(舊制中學)·구제3고(舊制三高)를 거쳐 도쿄제국대학 미학과를 중퇴하였다. 신인회(新人會)에 가입하였고, 반제동맹(反帝同盟)에서도 활동하였다. 이후 제3전선에 가담하여 조선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도쿄지부 결성에 참여하였다. 1928년 5월 고려 공산청년회 일본부 기관지 편집 겸 출판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9년 5월 무산자사를 결성하고 위원장이 되었다. 『무산자』를 발행하며 「정치적 시각에서 본 예술투쟁」,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우리는 어떻게 투쟁해야 할 것인가」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라는 팸플릿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1930년 4월 조선공산당재건협의회 사건으로 검거되었다. 1931년 11월 동지사(同志社)를 조직하였다. 이후 검거되어 한동안 옥살이 한 이후 일본프롤레타리아문화연맹 조선협의회 위원장, 기관지 『우리동무』 편집장이 되었다.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도쿄공소원[東京控訴院]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1934년 4월 출옥하였다.

김두용은 1935년 5월 조선예술좌를 창립하고 위원장이 되었다. 1936년 2월경 조선신문사 편집국원이 되었으며 7월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1939년 1월 도쿄공소원에서 징역 1년 8월을 선고받았다. 1945년 8월 서울에서 조선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에 참여하였다. 일본에서는 정치범석방운동촉진연맹 결성에 참여하여 연맹의 위원장이 되어 활동하였다. 재일본조선인연맹 결성에 참여하면서, 일본 공산당 조선인부 부부장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48년 11월 북한으로 건너가 북조선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20인 후보위원 중 한 사람으로, 유일하게 반대표를 받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제3차 대회에서는 전향한 전력이 문제가 되어 후보가 되지 못하였다. 역사편찬위원회, 외문출판사 국장, 해주박물관 직원으로 근무하였고, 국제무역위원회 기관지 편집 담당으로 활동하였다. 청진제관공장에서도 근무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두용은 『전위(前衛)』에 「일본에서 조선인 문제」[창간호], 「조선인운동은 전환해 가고 있다」[제14호], 「조선인운동의 올바른 발전을 위해」[제16호] 등을 게재하였고, 1947년 『일본에서의 반조선민족운동사』,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 1947년 『조선근대사회사화』, 1949년 『조선민족해방투쟁사』[공저] 등을 집필하였다.

참고문헌
  • 김인덕, 「재일 조선인 운동과 김두용」(『한국민족운동사연구』18,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998. 6)
  • 『近代日本社会運動史人物大事典』(日外アソシエ−ツ, 1996)
  • 『社會運動の狀況』(內務省 警保局, 1930, 1933, 1936, 1937)
  • 『特高月報』(日本 内務省 警保局 保安課, 1932. 6, 1941. 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