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韓国人徵用犧牲者慰霊碑 |
---|---|
한자 | 韓國人徵用犧牲者慰靈碑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일본 후쿠오카현 다가와시 |
시대 | 현대/현대 |
건립 시기/일시 | 1988년 4월 |
---|---|
원어 항목명 | 韓国人徵用犧牲者慰霊碑 |
원어 주소 | 日本国福岡県田川市伊田2734-1 田川市石炭記念公園 |
영문 주소 | Fukuoka-ken, Tagawa-shi, Ita, 2734-1 |
GPS 좌표 | https://www.google.com/maps/place/%E7%94%B0%E5%B7%9D%E5%B8%82%E7%9F%B3%E7%82%AD%E3%83%BB%E6%AD%B4%E5%8F%B2%E5%8D%9A%E7%89%A9%E9%A4%A8/@33.6410625,130.8138446,17z/data=!4m8!1m2!2m1!1z7ZuE7L-g7Jik7Lm07IucIOuLpOqwgOyZgOyLnCDsmKTslYTsnpAg7J207YOAIDI3MzTrsojsp4AgMQ!3m4!1s0x0:0x33743c566c0a0141!8m2!3d33.6408522!4d130.8139079?hl=ko |
성격 | 위령비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높이 3m |
관리자 | 다가와시 석탄 역사 박물관 |
1988년 재일 한인 징용자를 추모하기 위해 일본 후쿠오카현 다가와시 석탄 기념 공원 내에 건립된 위령비.
1931년 4월 1일에 공포된 국가 총동원법 제4조로 국민을 징용하여 총동원 업무를 명령할 수 있게 되면서 칙령으로 국민 징용령이 1938년 7월에 시행되었다. 초기에는 군 요원 등을 충족하기 위한 징용이 이루어졌다. 그후 단계적으로 적용이 확대되어 1944년 9월부터 조선 도내(道內), 도외(道外), 일본으로의 노동 동원에 대해서도 징용령이 발동되었다. 재일 조선인에게도 도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집단적으로 탄광·광산·공장 노동에 단기 징용이 실시되었다. 오사카[大阪]에서 규슈[九州]의 탄광까지 동원된 사례가 있다. 탄광 등지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은 충분한 음식이나 휴식 시간을 제공받지 못한 채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고 학대를 받기도 하였다. 또한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징용지에서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다. 일본의 대표적인 탄광 도시인 후쿠오카현[福岡縣] 다가와시[田川市]의 탄광으로 강제 동원되어 희생된 재일 조선인 징용자를 추모하기 위해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다가와지부와 한국인 징용 희생자 위령비 건립 위원회는 1988년 4월에 다가와시 석탄 기념 공원 내 석탄·역사 박물관 옆에 위령비를 건립하였다.
규슈 후쿠오카현 다가와시 다가와이타[田川伊田]역 앞 석탄 역사 박물관에 있다.
기단과 위령비로 구분된다. 기단에는 비문과 설립 경과에 대해 세겨져 있다. 크기는 높이 약 3m 정도이다. 위령비를 중심으로 양쪽에는 무궁화가 심어져 있다.
비의 앞면에는 ‘한국인징용희생자위령비(韓國人徵用犧生者慰靈碑)’라고 새겨져 있다. 비문은 한글과 일본어로 쓰여 있으며 “이 세상에 사는 모든 생물은 모두 저마다 삶을 누리고자 한다”로 시작된다.
현재 다가와시 석탄 역사 박물관 뒷편 공원에 있으며, 역사 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일본에서 강제 동원으로 희생된 한국인을 위해 설립된 위령비이다. 불행한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역사의 현장이며, 교육의 장으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