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8月方針 |
---|---|
한자 | 八月方針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46년 8월 |
---|---|
원어 항목명 | 8月方針 |
성격 | 일본 공산당의 재일 조선인 문제 방침 |
1946년 일본 공산당이 재일 조선인 당원에게 재일 조선인을 소수 민족으로 규정하고 참정권 문제 제기를 지시한 방침.
1946년 8월에 일본 공산당 제4회 확대 집행 위원회에서 채택된 일본 공산당의 재일 조선인 문제에 대한 방침이다. 일국 일당의 원칙 아래 일본에서 활동하는 재일 조선인 공산주의자가 일본 공산당의 일원으로 그 방침에 따를 것을 전제로 발표되었다.
주된 내용은 일본 공산당의 중앙 위원 후보였던 김두용(金斗鎔)의 생각을 반영하여 “재일본조선인연맹은 가급적 하부 조직의 노골적인 민족적 편견을 억제하고 일본의 인민민주주의 혁명을 지향하는 공동 투쟁의 일환으로 그 민족적 방향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지역 및 직장별 세포[공산당 지부 조직]에서 일본인 당원과의 일체화가 요구되었다. 재일본조선인연맹이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던 당시 8월 방침이 발표되었다. 일본 공산당의 재일 조선인 운동에 대한 관점은 재일 조선인을 소수 민족으로 규정하고 재일 조선인 당원에게 참정권 문제 제기를 지시하는 것이었다.
8월 방침은 재일 조선인 운동 전체에 큰 영향을 끼쳤다. 8월 방침의 기본 노선은 일본의 민주 혁명에 대한 관여를 내정 간섭이라 여기는 것이었고, 재일 조선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민’으로 자리매김한 1955년의 재일 조선인 운동 노선 전환 때까지 지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