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慰安婦問題 |
---|---|
한자 | 慰安婦問題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일본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원어 항목명 | 慰安婦問題 |
---|
일제 강점기 인권 유린 및 여성 성착취의 상징이 된 위안부에 대한 실상 고발과 국가 책임을 묻는 활동.
한국 관계 법령에서의 공식 명칭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유엔 인권 위원회와 여성 단체에서는 ‘일본군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일본의 조직적이고 강제적인 동원 사실을 더욱 분명히 하고자 하는 것이다. 위안부들은 본인의 자발적 의지가 아닌 납치, 매수 등의 방법으로 일본군의 성적 욕구 해소의 도구가 되었고, 강제적으로 성적 행위를 강요 받았기 때문이다. 다만 단어가 주는 어감 때문에 피해 여성 측에서 이 명칭에 대해 찬성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는 1991년 8월 14일에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이 대한민국 거주자로서는 최초로 공개 증언을 시작해 본격적인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다. 김학순의 증언은 국제 사회에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매주 개최되는 수요 집회를 촉발하는 요인이 되었다. 김학순의 증언은 일찌기 위안부 문제에 주목해 왔던 윤정옥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90년 11월에 한국 정신대 문제 대책 협의회가 결성되어 윤정옥이 공동 대표를 맡았다.
일본에서는 한국보다 훨씬 앞선 시기였던 1970년대 초반에 이미 재일 한인을 중심으로 위안부 문제가 제기된 적이 있다. 1972년 일본은 대만과 국교를 단절하였고, 대만에서 매춘 관광을 즐기던 일본 남성들은 매춘관광의 대상지를 한국으로 변경해 이른바 ‘기생 관광’이 크게 물의를 빚었다. 일본 남성의 매춘 관광은 위안부 제도의 재현이라는 비판을 받았고, 일본의 교회를 중심으로 일본 여성과 재일 한인 여성들이 한국 여성들과 연대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1972년에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복귀되면서 국적 문제 때문에 위안부 피해자 배봉기가 과거를 밝혀 동포 사회와 일본의 양심적인 시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다만 배봉기를 보살펴 주던 이가 북한을 지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측의 인사였기 때문에 반공을 내세우던 한국에서는 이러한 사실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1990년에 한국 정신대 문제 대책 협의회 결성 이후, 일본에서는 재일 한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유학생 출신인 야마시타 영애가 일본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재일 여성들을 중심으로 일본 정부에 보상을 촉구하는 제소를 시작하였고, 1993년에 위안부 피해자인 송신도가 제소를 시작하였다. 위안부 문제에 참여한 여성들은 민족 단체와 거리를 두고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 송신도의 재판은 패소했지만 이 과정을 통해 재일 여성과 일본 시민의 유대 관계를 보여주었고, 한국과는 다른 일본 내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