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土月会 |
---|---|
한자 | 土月會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23년 5월 |
---|---|
해체 시기/일시 | 1940년 |
최초 설립지 | 일본 도쿄도 |
원어 항목명 | 土月会 |
1923년 5월 일본 도쿄도에서 박승희, 김기진 등 재일 한인 유학생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연극 단체.
한국에서 신극(新劇) 운동은 통상적으로 1920년대 이후 본격화되었다고 한다. 특히 1919년 3·1 운동 이후 근대적인 자각, 자유, 평등, 개인의 권리, 봉건적 유교 사상에 대한 비판, 남녀 평등의 주장 등을 주제로 한 신파극(新派劇)이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도쿄 유학생들은 1920년 2월 ‘극예술협회’를 조직하여 ‘동우회(同友會) 순회 연극단’을 편성하여 1921년 7월부터 8월 중순까지 모국 방문 순회공연을 실행하였다. ‘동우회 순회 연극단’의 뒤를 이어 박승희(朴勝喜) 등의 도교 유학생들이 토월회를 조직하였다. 당시 회원은 박승희, 김기진(金基鎭), 김복진(金復鎭), 이서구(李瑞求), 박승목(朴勝木), 김을한(金乙漢) 등이었다.
토월회의 첫 공연은 1923년 7월 4일부터 8일까지 조선극장에서 상연되었다. 공연에서 토월회는 조지프 유진 필로트(Joseph Eugene Pillot)[1886~1966]의 「기갈(飢渴)」, 안톤 체호프의 「곰」, 버나드 쇼의 「그 남자가 그 여자의 남편에게 어떻게 거짓말을 하였나[How He Lied to Her Husband]」, 박승희의 「길식(吉埴)」 등 대부분 서양 근대의 단막극을 상연하였다. 사실적인 무대 장치, 자연스러운 회화체 대사, 사실적이고 이야기식의 극 연출 등 새로운 신극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는 찬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금난으로 실패하였다. 제2회 공연에서는 톨스토이의 「부활」 등을 상연하여 예술성과 대중성을 확보하면서 성공하였으나 창립 동인들은 대부분 토월회를 탈퇴하였다. 이후 토월회는 예술적 내용과 현실적인 영업을 동시에 추구하는 극단 운영 방식을 추구하여 1925년 3월부터 1년간 광무대(光武臺)를 전속 극장으로 하여 활동하였다. 이 시기에 박승희가 각색한 「춘향전」을 장기 공연하기도 하였다. 이후 토월회는 1925년 11월부터 지방 순회공연을 시작하였으며 1940년까지 존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