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협회

원어 항목명 朝鮮人協会
한자 朝鮮人協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2년 7월 24일
개칭 시기/일시 1932년 10월
최초 설립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원어 항목명 朝鮮人協会
성격 친일단체
설립자 이선홍
정의

1922년 일본 오사카시에서 이선홍의 주도로 조직된 재일 조선인 친일 단체.

개설

한방 약상을 하던 이선홍(李善洪)이 1922년 7월 24일 오사카[大阪]에서 친목 단체를 표방하고 결성하였다. 1923년 5월부터는 재오사카 조선인 친목회[在阪朝鮮人親睦會] 부간사를 지냈던 신태균이 총본부의 회장 겸 총무로 활동하였다.

설립 목적

조선인 동포의 친목 도모와 상부상조, 그리고 각자 생활의 안정, 인격 함양을 표방하며 설립하였다.

변천

한약상을 하던 이선홍(李善洪)은 1922년 7월에 조선인 차별 해소, 상호 부조를 목적으로 한 조선인 협회 결성을 제안하여 1922년 7월 24일 오사카에서 친목 단체를 표방하며 결성하였다. 조직 결성 이후 1923년 5월부터는 재오사카 조선인 친목회 부간사를 지낸 신태균이 총본부의 회장 겸 총무로 활동하였다. 조선인 협회는 1922년 12월 오사카 조선 노동 동맹회 결성에 영향력을 미치며, 1920년대 오사카 지역의 대표적인 친일 단체로 자리하였다. 1932년 10월에는 오사카 조선인 협회 총본부로 개칭하였다.

1924년 5월에는 협회의 사업 내용과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부산에 조선인 협회 본부를 설치하였다. 또 일본을 왕래하는 조선인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실비 숙박소, 무료 병원, 직업 소개소 개설 등의 사업을 계획하고 당국과 협의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 결과 1924년 6월 10일에 부산 청년 회관에서 조선인협회 부산본부 발회식을 거행하였다. 발회식에서 규칙을 통과시키고 임원을 선출하였다.

일본은 1936년부터 협화 사업의 명목으로 예산을 배정하면서 협화회 사무를 내무성이 담당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방에서 협화회 설립을 장려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인 협회를 비롯한 오사카 지역의 친일 융화 단체는 점차 소멸되고 상애회(相愛會) 오사카 본부만 남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33년 내무성과 척무성(拓務省) 및 조선 총독부가 재일 조선인에 대한 지도 강화 및 동화 정책을 철저하게 협의한 후 내용은 1933년 10월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이 결정에 따라 조선인이 다수 거주하는 오사카 지역에서는 1934년 4월 내선 융화 사업 조사회가 설치되어 본격적인 조사 연구를 하게 되었다. 조사 답신에 의해 1935년 10월에는 오사카부 내선협화회[大阪府內鮮協和會]가 오사카부 협화회[大阪府協和會][회장은 부지사]로 개칭되었다.

1936년 2월부터 오사카 지역의 각 경찰서에 서장을 회장으로 하는 교풍회(矯風會)가 설치되면서 친일 융화 단체의 간부들은 교풍회 지도원으로 등용되어 동화 정책 및 황민화 정책 수행, 각종 국책 운동, 협화회 행사에 동원을 독려하였다. 1936년부터 협화 사업의 명목으로 예산을 배정하면서 협화회 사무는 내무성 사회국이 담당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방 행정청에 협화회 설립을 장려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동아일보』(1924. 3. 2, 5. 13, 6. 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