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朝鮮人新進会 |
---|---|
한자 | 朝鮮人新進會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오사카부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26년 1월 16일 |
---|---|
최초 설립지 | 일본 오사카부 |
원어 항목명 | 朝鮮人新進会 |
1926년 1월 16일 일본 오사카에 거주하는 재일 조선인 아나키스트들이 조직한 단체.
재일 조선인들의 주거권 확보와 해고 방지, 직업 소개 등 생존권과 관련된 여러 가지 현안을 해결하고 민족 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결성되었다.
1926년 1월 이선홍(李善洪)이 오사카를 중심으로 친일 단체를 조직하기 위한 대회를 개최하자 아나키스트 김태엽(金泰燁) 등이 소동을 일으켜 대회를 중단시켰다. 대회 중단 계기로 임시 의장을 맡은 이춘식(李春植)이 친일 단체를 대신할 수 있는 조선인 신진회를 결성하여 명실공히 투쟁적으로 민족을 위하고 참된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약 500여 명의 회원들이 모인 가운데 개최된 결성식에서 조선인 신진회는 친일 단체인 조선인 협회의 박멸을 결의하고 회장에 이춘식, 부회장에 고제균(高濟均), 윤혁제(尹革濟) 등을 선출하였다.
결성 대회에서 신진회는 야심가들의 운동이 아니라 독자적인 독립운동의 길을 열겠다고 밝히고 오사카 지역의 재일 조선인들의 주거권 확보와 해고 방지, 직업 소개 등 생존권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다루었다. 조선인 신진회는 오사카 최초의 한인 신문사인 자아성사(自我聲社)를 설립하여 1926년 3월 20일에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조선인 신진회는 조선인 신우회(朝鮮人信友會), 수평사 본부, 문명 비평사, 교토[京都]의 백의 인사(白衣人社), 와카야마[和歌山]의 조선인 자유 노동조합 등 한일민족단체를 규합하여 1926년 5월에 조선인중앙협의회를 조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