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東亞通航組合 |
---|---|
한자 | 東亞通航組合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오사카부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29년 4월 |
---|---|
해체 시기/일시 | 1934년 2월 |
원어 항목명 | 東亞通航組合 |
성격 | 선박협동조합 |
오사카-제주도간 정기 항로가 확립된 이후 1929년 4월 일본 오사카에 거주하는 재일 조선인들이 조직, 운영한 선박 협동조합.
1929년 4월 결성된 선박 협동조합이다. 자주 운항 운동을 표방하며 1930년 11월부터 1933년말까지 제주도와 오사카 사이를 운항하였다. 오사카에 거주하는 재일 조선인의 권익 향상 및 식민지 해방을 위하여 지역 단체와 연대 활동을 전개하였으나 거듭되는 좌초 사고와 경영난, 일제의 탄압 등으로 1934년 2월 운영이 정지되었다.
오사카-제주도 노선의 선박 회사를 독점적으로 운영하던 조선우선(朝鮮郵船) 회사와 아마가사키[尼崎] 회사의 횡포에 분개한 오사카 거주 제주도민들이 운임 인하와 대우 개선을 목적으로 ‘자주 운항 운동’을 내걸고 설립하였다.
1928년 4월, 제주도민 대회에서 조선우선 회사와 아마가사키 회사에 대해 운임 인하와 대우 개선을 요구하였으나 회사 측이 거절하자 김달준(金達俊)과 문창래(文昌來)가 중심이 되어 자주 운항 운동을 전개하였다. 1929년 4월, 김문준(金文準)은 제주도민 유지 간담회를 통해 제주통항조합준비회 조직을 결정하고, 1930년 3월 25일에는 한글로 된 기관지 『제주통항조합뉴스』를 발간하였다. 1930년 4월 21일 나카노시마[中之島] 공회당에서 동아통항조합 설립 대회를 개최하였다. 조합 가입은 개인이 아닌 지구(地區)가입 방식을 채택했는데, 창립 당시에 13개 지부가 조직되었고, 조선인 120지구가 참가하였다. 1930년 9월 8일 임시 대회에서 의장 문창래, 부의장 현석헌과 현길홍으로 한 임시 집행부를 구성하고 일본 선박 회사 운임[12원 50전]보다 저렴한 운임[6원 50전]으로 1930년 11월 1일부터 취항하기로 결정한 후, 고류마루([蛟龍丸, 3,700톤급]를 계약하였다.
조합 출범 당시부터 출자금이 부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본 선박 회사의 운임 덤핑으로 경영의 위기를 맞은 상태에서 1931년 12월 1일 취항 직후 12월 6일과 1932년 4월에 배가 좌초하는 사고가 연이어 일어났다. 오사카 거주 재일 조선인들은 수선 기금을 모금하는 등 운항 재개를 위해 노력하였으나 심각한 경영 위기에 몰렸다.
경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1932년 5월 개최된 제3회 대회 이후 승선율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한 결과 수개월간 조합원이 2만여 명으로 증가하고 승선율도 높아졌으나 부채로 인한 경영의 악화, 그리고 일제 경찰로부터 일본 공산당과 일본 노동조합 전국 협의회(日本勞働組合全國協議會)의 산하 단체로 지목되어 조합원들이 대거 검거되는 등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1933년 2월 15일, 임시 대회에서 조합 운영을 지속하기로 결정하고 동아상회준비회(東亞商會準備會)를 조직하는 등 경제 활동 중심 단체로 성격을 전환하면서 적극적으로 활로를 모색하였다. 하지만 조합원의 이탈과 거액의 부채로 인해 1933년 12월에 운항이 정지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열린 1934년 1월 29일 임시 대회에서 복목환을 매각하여 부채를 정리하고 동아실비 배급소(東亞實費配給所)를 설립하기로 결정하였고 1934년 2월 6일 긴급 유지회를 개최하여 조합 존속을 가결하였다. 가결 자리에서 조합 존속을 위한 기금을 9천여 원이나 모금하였으나 이후의 활동은 찾을 수 없다.
동아통항조합은 1920년대 후반 재일 조선인의 자체 역량이 확충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첫 출항 당시 수천 명의 재일 조선인들이 항구에 모여 축하하였다. 조합 설립 이후 선박 구매나 연이은 좌초 사고로 위기를 겪었으나 선박 수선 기금 마련에 재일 조선인의 호응이 끊이지 않았다. 1934년 해산하였으나 일본의 독점 선박 회사에 맞서 재일 조선인 스스로 선박 협동조합을 운영한 자부심은 일본 패전 이후 형성된 재일 한인 사회의 귀중한 자산으로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