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公愛会 |
---|---|
한자 | 公愛會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31년 |
---|---|
최초 설립지 |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시 |
원어 항목명 | 公愛会 |
성격 | 내선융화단체 |
설립자 | 박재용 |
1931년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시에서 조직된 재일 조선인 일본 동화 단체.
1931년 조직된 오이타[大分] 지역의 일본 동화 단체로 1937년 이후 징병제 실시와 관련된 제반 활동을 통해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과 침략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였다.
일본 동화 단체로 설립되었으며, 1937년 이후에는 징병제의 실시를 목적으로 활동하였다.
공애회의 조직 직후 활동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1937년부터 1938년까지는 징병제 관련 운동에 앞장섰다. 1937년 8월에 즉각 조선인에 대한 징병제의 실시가 불가능하다면 지원병제라도 시행할 것을 주장하면서, 200여 명의 조선인의 서명을 받아 박춘금 등 대의사에게 전달하였다. 또한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국방 헌금 모금 운동을 전개하여 1938년 1월까지 581명의 조선인에게서 705원을 모금하였다. 1938년 1월에 지원병 제도 실시가 발표되자 발표를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하였으며, 수상 등 관련자에게 감사장을 발송하였다. 1938년 1월 28일 개최된 국책 순응 지원병제 실시 축하 대회에 참가하였고, 1938년 2월 15일에는 오이타현의 9개의 조선인 일본 동화 단체와 함께 ‘벳부시 반도인 지원병제도 실시 축하 및 시국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이때 박재용은 공동 의장을 맡아 대회를 주관하였다.
일본 오이타 지역의 일본 동화 단체로서 재일 조선인을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에 적극적으로 동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