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예술좌

원어 항목명 学生芸術座
한자 學生藝術座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도쿄도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34년 6월 24일
해체 시기/일시 1940년 9월
원어 항목명 学生芸術座
성격 연극단체
정의

1934년 일본 도쿄도에서 재일 한인 유학생이 조직한 연극 단체.

개설

학생예술좌는 1934년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니혼대학[日本大學], 호세이대학[法政大學]에서 유학하던 재일 한인 유학생 15명이 주축이 되어 조직한 연극 단체이다. 일본 쓰키지 소극장에서 수차례 공연을 하였으며 기관지 『막(幕)』을 창간하였다. 1940년 단원의 좌익 활동 혐의로 체포되며 해체되었다.

설립 목적

학생예술좌는 일본 도쿄의 연극계에서 적극적으로 연극 경험을 쌓아, 장래 고국으로 돌아가 연극을 통해 민족의 얼을 부흥시키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학생예술좌는 1934년 6월 24일 박동근, 주영섭, 마완영, 이진순, 이해랑, 허남실, 김동원, 한적선, 임호권, 김영화, 김용하, 유종렬, 황순원, 주경은, 김영수 등 15명이 도쿄 시부야의 요요기에 사무실을 개소하며 설립되었다. 창작극을 중심으로 공연을 하였다. 1934년 9월 라디오 방송극을 시작으로 활동한 학생예술좌는 1940년 해체될 때까지 도쿄 쓰키지 소극장에서 1935년, 1937년, 1938년 공연을 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35년 6월 4일 도쿄 쓰키지 소극장에서 제1회 공연 작품으로 주영섭의 작품 『나루』와 유치진의 작품 『소』를 공연하였다. 조선 농촌의 피폐한 현실을 그린 『나루』와 『소』는 창작극을 상연 목록으로 하고자 하였던 학생예술좌의 의지를 볼 수 있는 작품이다. 1937년 6월 22일부터 23일까지 공연한 유치진 각색 『춘향전』[도쿄 쓰키지 소극장]은 조선의 고전을 일본에 알린 공연이다. 1938년 6월 4일과 5일 이틀 동안 상연한 『지평선』[유진 오닐 원작, 주영섭 연출]과 『벌판』[주영섭 원작, 허남실 연출]을 상연하였다. 학생예술좌조선예술좌와 상호 협력하며 무라야마 도모요시[村山知義]가 이끈 일본의 신협극단(新協劇團)이 상연한 『춘향전』,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에 출연하기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일본에서 활동한 학생 극단 학생예술좌는 연극 무대 활동은 물론 전문 극단의 작품에 찬조 출연함으로써 학생 극단임에도 불구하고 전문 극단과의 교류를 통해 향후 극단원이 조선 연극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 이두현, 『한국 연극사』(학연사, 1991)
  • 박동근, 「도쿄 학생예술좌 약사」(실험극장 제15회 공연 프로그램, 1965)
  • 박영정, 「일제 강점기 재일본 조선인 연극 운동 연구」(『한국극예술연구』3, 한국극예술학회, 1995)
  • 정혜경, 「1930년대 재일 조선인 연극 운동과 학생예술좌」(『한국민족운동사연구』35,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3)
  • 김사량, 「재일 조선인 연극 운동의 전개 과정과 공연 방식 연구」(서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