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朝鮮芸術座 |
---|---|
한자 | 朝鮮藝術座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35년 5월 3일 |
---|---|
해체 시기/일시 | 1936년 10월 |
원어 항목명 | 朝鮮芸術座 |
성격 | 극단 |
설립자 | 김파우|김두용 |
1935년 일본 도쿄도에서 고려극단 멤버가 중심이 되어 설립한 재일 조선인 극단.
조선예술좌는 프롤레타리아 연극 운동에서 벗어나 합법적 연극 활동을 통해 새로운 연극을 표방하며 설립하였다. 조선 문화를 일본에 알리며 조선의 진보적인 연극을 수립하기 위해 활동하였다.
조선예술좌는 조선의 고전적 예술[연극]을 올바르게 계승하여 널리 일본의 다양한 인사에게 소개하고, 조선 민족 연극 예술의 향상과 발전을 위해 힘을 다함으로써, 독자성 있는 새로운 스타일의 연극을 창조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재일 조선인 연극인 중 풍부한 무대 경험이 있었던 안영일, 이화삼, 김일영, 김파우, 오정민, 김사량 등이 조선예술좌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1935년 3월 3~4일 이틀 동안 상연된 조선예술좌의 첫 공연은 「울릉도」, 「조정 재판」, 「보통학교 선생」이었으며 600여 명의 관객이 관람하였다. 일본 연극계의 중진인 무라야마 도모요시[村山知義]의 원작 『보통학교 선생』을 오정민이 재일 조선인 학교를 다룬 작품으로 번안하여 상연되었다. 이후 「빈민가」, 「선술집」, 「서울의 지붕 밑」, 「서화」, 「토성랑」, 「소」, 「춘향전」, 「산사람들」 등의 작품을 상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