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相愛会 |
---|---|
한자 | 相愛會 |
영문 | Sangaehoe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21년 12월 23일 |
---|---|
해체 시기/일시 | 1941년 3월 |
원어 항목명 | 相愛会 |
성격 | 재일 조선인 친일 단체 |
설립자 | 이기동|박춘금 |
1921년 일본에서 이기동·박춘금의 주도로 설립된 재일 조선인 친일 단체.
1919년 이후 재일 조선인 노동자·유학생 사이에 노동 단체·사상운동 단체들이 대거 조직되었다. 일제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친일 단체를 조직하려는 구상을 세웠다. 일제의 사주로 만들어진 상애회는 작업 현장의 경호 용역, 품삯의 일부를 갈취하는 자들로 구성된 단체였다. 총본부 회장에는 이기동(李起東), 고문에는 당시 일본 재계의 거물 시부사와 에이이치[澁澤榮一], 조선 총독부 경무국장 마루야마 쓰루키치[丸山鶴吉]가 활동하였다.
상애회는 설립목적으로 첫째, 인류 상애의 정신과 공존 공영의 본의에 입각한 일선 융화, 둘째, 민족적 차별 관념의 철폐, 셋째, 조선인 노동자를 위한 정신적 교화와 경제적 구제 등을 목표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첫째, 조선인 노동자의 공동 숙박, 둘째, 직업 소개, 셋째, 인사 상담, 넷째, 노동자 교육 등을 실시하겠다고 했다.
1921년 12월 23일 상애회가 설립되었다. 1923년 관동 대지진 이후 조선총독부의 지원을 받아서 도쿄 총본부로 상애회관을 설립했다. 중심 인물로는 이기동·박춘금이 있었는데, 박춘금(朴春琴)이 실질적으로 상애회를 만들었고, 이기동이 총본부 회장을 맡았다. 상애회는 전국에 지부와 출장소를 설립했다. 1924년 초 서울에서 김정규·정원조·구연상 등을 간부로 상애회의 조선지부로 볼 수 있는 노동상애회를 조직하여, ‘내선 공존 공영·직업 소개·독립운동자 구제’를 표방했다. 1930년대에는 회원이 3,000명을 넘었지만, 조선인 측에 대한 비판이 많았던 것 등의 이유로 회원이 감소했다. 협화회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세력이 약해져 1941년 3월 해산되었다.
1923년 관동 대지진 때는 조선인 학살 뒤처리를 위해 조선인 노동자 300명으로 노동 봉사대를 조직, 일제의 주구 역할을 유감없이 수행했다. 이후 일제 치안 당국에 협력하면서 학살된 조선인의 시체 처리와 이재(罹災) 노동자 수용 등에 노력한 공을 인정받아, 일제가 물심 양면 적극적인 후원을 하였다. 이에 1928년 재단 법인을 구성하였고, 재단 이사장으로 전직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인 마루야마 츠루키치를 영입하였다. 상애회는 취직 알선, 숙박소 설립 등의 활동도 했다. 노동 운동에도 간섭하면서 경찰과 협력해서 조선인 노동 운동을 억압했다. 야학교도 개설했으나, 조선어 교육 등에 대한 경계로 중지되었다.
1924년 4월 친일 각 파의 유지 연맹을 비난한 『동아일보』 사장 송진우(宋鎭禹)를 폭행하였고, 1924년 7월에는 하의도(荷衣島) 소작 쟁의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 농민측 청년회를 습격하였다.
1927년 하마마쓰 노동 쟁의 때는 파업 분쇄를 위한 폭력단으로 활동했다. 1928년 2월 일본 경찰과 함께 재일 조선인 사상단체인 흑우회·흑우연맹·계림장을 습격해서 재일 조선인을 살해하였다.1930년경에는 재일 조선인 노동자의 결혼을 주선한다는 명목으로 여공들을 납치, 불법 감금·사형(私刑) 등을 범했다. 1930년말 박춘금은 사이토 마고토의 요청으로 의친왕 이강(李剛)을 설득, 협박하기도 하였다.
재일 조선인 융화·동화 단체 가운데 회원 수가 가장 많고, 또 가장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조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