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自由靑年連盟 |
---|---|
한자 | 自由靑年聯盟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28년 1월 28일 |
---|---|
원어 항목명 | 自由靑年連盟 |
성격 | 항일 단체 |
설립자 | 한하연|이승식|이시우|홍영우 |
1928년 일본 도쿄도에서 한하연 등 재일 조선인 아나키스트들이 결성한 단체.
1928년 1월 28일 한하연(韓何然)·이승식(李承植)·이시우(李時雨)·홍영우(洪永祐) 등을 중심으로 약 20여 명의 회원이 일본 도쿄[東京]에서 자유청년연맹을 결성했다.
재일 조선인 아나키스트들이 항일 운동과 아나키즘 사상 선전을 목적으로 조직하였다.
자유청년연맹(自由靑年聯盟)은 당시 아나키즘 계열의 노동 단체인 조선 자유노동자조합 등과 연대해 친일 반동 단체인 상애회(相愛會) 회원들과 투쟁을 벌였다.
1928년 3월 5일 밤 상애회가 아나키스트 단체인 흑풍회(黑風會)와 자유청년연맹을 습격했는데, 일본 경찰은 오히려 습격당한 측의 8명을 검속했다. 이에 오우영(吳宇榮) 등 아나키스트들이 반동 단체인 상애회와의 투쟁을 벌여 나가기로 결의하고, 일본 노동 단체들과 연대해 공동 대처하고자 했다. 한하연 등은 1928년 9월 친일 단체인 대동협회(大同協會)를 습격하기도 했다.
자유청년연맹의 이시우는 1929년 1월 31일 기관지로 『자유청년(自由靑年)』을 발간했다. 『자유청년(自由靑年)』은 월간으로 1,000부 가량 발행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물이 발견되지 않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또 한하연은 1930년 5월부터 도쿄의 아나키스트 노동 단체인 조선 동흥노동동맹(朝鮮東興勞動同盟)과 협력하여 『흑색신문(黑色新聞)』을 발행하였다. 한하연은 홍성환(洪成煥)과 함께 1932년 12월 자유코뮨사를 창립하여 기관지 『자유코뮨』도 발행하였다. 한하연이 책임자로 있던 자유청년연맹은 전시 동원 체제가 강화된 1935년 11월 4일 해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