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大韓学会 |
---|---|
한자 | 大韓學會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설립 시기/일시 | 1908년 1월 |
---|---|
해체 시기/일시 | 1909년 1월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08년 3월 |
원어 항목명 | 大韓学会 |
성격 | 재일 조선인 유학생 단체 |
1908년 일본 도쿄에서 설립된 재일 조선인 유학생 연합 단체.
대한학회는 국민의 지덕 계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일 조선인 유학생 단체는 1908년 1월 통합을 위한 연합위원회를 열었다. 연합위원회에서 통합에 합의한 유학생들은 통합 단체 발족을 위한 준비 작업을 거쳐 1908년 2월 9일 170명이 모인 가운데 대한학회 창립 총회를 열었다. 대한유학생회, 낙동친목회, 호남학회, 광무학회의 4개 단체는 발전적 해소를 도모하여 대한학회로 통합하였다. 그러나 최대 조직이었던 태극학회는 참여를 약속하였지만 내부의 이견 제의로 인해 독립 단체로 남았고 공수학회 또한 통합 과정에서 이탈하여 결국은 부분적 통합에 머무르고 말았다.
대한학회 창립 당시 임원으로는 회장 최린(崔麟), 부회장 이은우(李恩雨), 총무원 강기우(姜麒祐), 최석하, 김기환(金淇驩), 윤익현(尹翼鉉), 유승흠, 윤대진(尹台鎭), 문상우(文尚宇), 정세윤(鄭世胤), 박병철(朴炳喆), 임규(林圭), 박용희(朴容喜), 한상우(韓相愚), 김진용(金晋庸), 최창조(崔昌祚), 최남선(崔南善), 윤정하(尹定夏), 강전(姜荃), 홍순오(洪淳五), 최원기(崔元基), 이한경(李漢卿), 편집부장 김기린, 교육부장 최석하, 토론부장 채기두(蔡箕斗), 운동부장 어윤빈(漁允斌), 교제부장 고의환(高宜煥)이었다. 1908년 6월 임원 개선으로 회장 이은우, 부회장 채기두, 총무원 유승흠, 김기린, 평의원 문상우, 허헌(許憲), 최린, 한상우, 윤대진, 박병철, 강전, 이한경, 김창수(金昌洙), 윤정하, 이승근(李承瑾), 이창조, 홍순오, 강기우, 김하구(金河球), 고원훈(高元勳), 윤익현, 김국태(金局泰), 조봉구(趙鳳九), 김기경(金基敬)으로 바뀌었다. 재일 조선인 유학생의 완전한 통합 조직은 아니었지만, 도쿄의 조선인 유학생을 대표하는 단체였다. 1909년 1월 다른 단체와 함께 유학생 통합 단체인 대한흥학회를 설립하면서 해산되었다.
대한학회는 완전하지는 않지만 대한제국 시기 일본 도쿄의 재일 조선인 유학생을 대표하는 통합 단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