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
지역 | 일본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일제 강점기 일본군 위안부와 위안소 진행 과정과 이를 밝히려는 일본 사회 양심 세력의 활동, 그리고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는 일본 정부의 동향 개관.
일본군 위안부는 일본이 만주 사변[1931년 9월 18일]을 일으킨 이후부터 아시아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1945년까지 전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라는 명목 아래 일본군의 성병 예방이나 군기 누설 방지, 현지 여성 강간 방지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 ‘위안소’에 동원되어 일본군의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한 여성을 의미한다. 일본은 아시아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는데 ‘위안부’가 필요하다는 일본군의 요구에 따라 위안부 제도를 운영하였다. 1931년에 일본이 만주 사변을 일으킨 이후부터 한반도는 물론 일본군이 배치된 모든 지역에 위안소를 운영하였다. 일본군 위안부 외에 탄광과 군 공사장 등지에 동원한 노무 위안부도 있다. 일본군 위안부는 문헌과 증언에서 작부(酌婦)·특수 부녀·추업부(醜業婦)·예기·창기·여급 등으로 나타나고, 위안소도 육군오락소·구락부·군인회관·조선요리옥 등의 호칭으로 불렸다. 일본은 조선 여성은 물론 중국·필리핀·인도네시아·베트남·버마·인도네시아에 거주하는 네덜란드인 여성들까지 위안부로 동원하였으며, 그 형태는 취업 사기, 협박 및 폭력에 의한 동원, 인신매매 및 유괴 등의 세 가지 방법이었다. 일본군 당국이 가장 많이 사용한 방법은 취업 사기이다. 일본군 당국은 위안소를 경영할 업자를 선정하고, 일본군과 경찰이 동원 과정에 협조했다. 업자들은 모집인을 이용하거나 자신들이 직접 나서서 여성들에게 접근해 동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취직이나 돈벌이를 미끼로 여성들을 끌어 모으거나 협박과 폭력을 사용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납치까지 하였다. 1941년 12월 일본의 진주만 공격이 일어나기 전에는 도항 증명서를 받아 국외 위안소로 이동하였으나, 이후에는 군 증명서를 발급받아 수송했다. 군 증명서는 모집인이나 인솔자가 소지하였으며, 일본군은 이동에 필요한 각종 편의를 제공하였다.
현재 일본군 위안부로 동원된 여성의 총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위안부동원 인원수를 보여 주는 체계적인 자료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 학자들이 일본군의 ‘병사 몇 명 당 위안부 몇 명’이라는 계획이 적힌 자료나 구술 자료를 근거로 추측하는데, 최소 3만 명에서 최대 40만 명까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식민지 조선에서 위안부 송출과 관련된 자료는 얼마나 있을까. ‘일본의 전쟁책임 자료센터’는 한국의 정부기록보존소 부산지소에서 조선총독부 자료를 조사한 결과 ‘종군위안부’에 관한 자료 2점, 관련 자료 수십 점을 찾아냈다. 이를 1993년에 공개하였다. 이들 자료에 의하면 두 가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하나는 위안부의 중국으로의 도항경로이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경찰서가 발행하는 신분증명서가 필요하였으며, 각 경찰서는 본인 신분, 신원, 경력, 직업, 도항 목적, 용무, 평소의 언동 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정보는 총영사관을 거쳐 외무성-척무성-조선총독부라는 경로로 제공되었다. 둘째는 조선총독부는 조선에서 중국으로 ‘특수소녀’ 특히 ‘종군위안부’가 도항하는 것을 허가 통제하고, 중국에서의 조선인 ‘위안부’의 이동 상황을 조사하는 등 위안부의 도항과 이동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총독부가 위안부를 송출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자료는 중국으로의 위안부 송출과 관련된 자료이지만 일본으로의 송출도 마찬가지였다고 할 수 있다.
홋카이도 구시로[釧路]에서는 해군 제3 어뢰 함정이 시내에 있던 유곽 6채를 지정 위안소로 하고 있었다. 지바현[千葉県] 기사라즈[木更津]에는, 해군 전용의 위안소가 6채 건설되어 일본인이나 조선인 여성이 들어가 있었다. 또 지바현 모바라[茂原]에도, 해군의 위안소가 7채 설치되었고, 나라현[奈良県]의 야나기모토[柳本] 비행장을 건설하는 곳에서도, 군인용의 위안소가 설치되었다. 이와 같이 군사시설 공사를 지휘·감독하는 군인을 위해서 위안소가 설치된 케이스는, 일본 내에 다수 있었다. 일본 본토뿐만 아니라 오키나와에도 위안소가 있었다. 1944년 3월 22일, 제32군이 신설되어 여름 무렵부터 오키나와에 계속해서 군이 배치되었지만, 제32군이 오키나와에 상륙하고 나서 군인에 의한 오키나와 주민의 여성에 대한 소란이 빈발하였다. 곤란해진 일본군은 오키나와현[沖縄県] 지사(知事)에게 군인용 위안소 설치를 신청했지만, 거부당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경찰에 압력을 가해 각지에 위안소를 만들기 시작하여 많은 조선인 여성을 데려올 수 있었다. 전 보병 제22연대 소속 한 군의관 대위가 1946년 1월 9일자로 적은 「오키나와 본도의 상황」에는 “조선인의 위안부, 일본인 여성[극히 적음, 생존자 있을지 의심됨]은 지방인과 함께 수용되어 있다.”라고 밝히고 있다.
위안부를 경험한 배봉기(裵奉奇)는 1914년 한국에서 출생하였다. 배봉기의 증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세가 넘은 1943년 무렵, 일본인과 조선인의 여자 소개인이 ‘남쪽의 섬에 가면 돈을 벌수 있다.’라고 꾀었습니다. 60명 정도의 여성들과 1944년 11월, 공습으로 불타서 들판이 된 오키나와에 도착해서, 도카시키섬[渡嘉敷島]에 보내졌습니다. 위안소는 빨간 기와로 된 큰 집으로, 나는 아키코로 불렸습니다. 휴일에는 표를 가진 군인들을 상대에게, 생리가 있어도 쉴 수 없는 것이 괴로웠습니다. 16세의 두 명의 여자아이는 매일 울고 있었습니다. 이윽고 위안소는 크게 폭격을 받아 동료도 죽었습니다. 함포 사격이 시작되어 미군이 상륙했습니다. 우리는 산의 진지로 가고 취사반이 되었지만 음식은 없고, 1945년 8월 26일에 무장 해제되었습니다. 오키나와 본섬의 이시카와[石川] 수용소에 들어갔습니다. 전쟁 후는 취객을 상대로 몸을 팔아서 연명했습니다. 아이를 보거나 사람이나 시장에서의 야채 팔이, 빈병 수집도 했습니다. 1975년에 생활 보호를 받으려고 위안부였던 것이 알려져 여러 사람이 이야기를 들으러 왔습니다.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 두통이 나고, 목을 찌르고 싶어집니다. 그렇지만 나를 지지해 주는 사람들과 만나서, 위안부가 된 것은 가난했던 나의 운명은 아니다라고 알게 되었습니다. 천황에 대해서는 ‘사과도 하지 않고 죽었다…’라고 생각했습니다. 고향에는 한 번도 돌아가지 못했습니다. 이제 와서 돌아가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일본에서 위안소에서의 체험을 말하는 일본인 여성의 증언이나 수기는 1970~1980년대에 나왔다. 시로타 스즈코[城田すず子]는 1971년 대만이나 팔라우 등의 위안소에서의 경험을 수기로 저술하였고, 1985년에는 「가니타 부인의 마을[かにた婦人の村]」에 위안부의 ‘진혼비’를 세웠다. 시로타 스즈코는 매스컴에 크게 보도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들었다. 오키나와에 잔류한 한국 출신의 배봉기는 1975년에 위안부였던 것이 알려져 경험담을 취재당하거나 지원 활동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위안부 지원 운동이나 위안소의 조사 연구를 하게 된 것은, 김학순(金学順)의 자기 공개가 있었던 1990년대 이후이다. 각국의 피해 여성에 의한 재판 지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NGO가 활동을 시작해, 오키나와나 각지의 산업 위안소, RAA 등의 조사도 진행되어 왔다. 위안부 핫 라인을 계기로 일본에 있는 송신도(宋神道)에 대한 지원 활동이 계속되고 있지만, 얼굴을 내놓고 증언하거나, 출판물을 통해 자신의 체험을 출판한 사람은 시로타 스즈코, 오키나와의 우에하라 시게코[上原栄子] 등 극히 소수밖에 없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의 우파에 의한 위안부 공격이나 역습으로 중학의 역사 교과서로부터 위안부 기술이 사라지고, 언론도 이를 금기시하여 보도를 자숙하였다. 정부는 위안부 문제는 해결이 끝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대처나 여성 국제 전범 법정의 성과를 보존·공개·계승하기 위해서, 2005년에는 도쿄에 ‘액티브 뮤지엄 여자들의 전쟁과 평화 자료관’이 탄생했다. 각 NGO는 피해국의 운동체와 연대하면서, 일본 정부가 공식 사죄와 배상을 하도록 요구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1991년 2월 김학순 할머니가 위안부였다는 것을 밝혔고, 이에 충격을 받은 요시미 교수가 관련 사료를 발견하고 공개하였다. 마침 방한하고 있던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수상은 한국 정부의 요청을 받고 위안부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였다. 1992년 7월 제1차 조사 발표에 이어 1993년 8월 제2차 조사를 발표하자 이른바 고노 담화[河野談話]를 발표하였다. 그 후 1995년 8월 무라야마 담화[村山談話]에서 위안부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이를 계기로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이 발족되었다.
그러나 2014년 들어 『산케이신문』과 『요미우리신문』을 비롯한 우익계 언론들이 1990년대 초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를 둘러싸고 네거티브 캠페인을 전개하였다. 우익계 언론은 ‘위안부는 없었다’는 논리로 위안부 자체를 부인하였다. 이를 받아들인 일본 정부는 고노 담화를 부정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한국과 일본은 정부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갈등이 증폭되었고 국내에서는 위안부를 상징하는 ‘소년상’을 각지에 건립하기 시작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미국, 독일 등 국제적으로 연대하여 소녀상을 건립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2016년 12월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는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위안부 관련 합의를 도출하였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이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서울의 일본 대사관과 부산 일본영사관 앞에 소녀상을 건립함으로써 이의 철거를 요구하는 일본 정부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 애틀란타 주재 일본총영사관 시노즈카 다카시 총영사는 “위안부는 성 노예가 아닌 매춘부”라는 망언을 하고 위안부 합의 이행을 주장하여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