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캠퍼스 한국학연구소

원어 항목명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한자 -大學校-韓國學硏究所
영문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지역 미국 인디애나주 블루밍턴 노스 조던 애비뉴 355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2015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최초 설립지 미국 인디애나주 블루밍턴 노스 조던 애비뉴 355
현 소재지 미국 인디애나주 블루밍턴 노스 조던 애비뉴 355
원어 항목명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원어 주소 355 North Jordan Avenue, Bloomington, IN 47405, USA
영문 주소 355 North Jordan Avenue, Bloomington, IN 47405, USA
성격 연구 기관
설립자 인디애나대학교
전화 812-856-7007
홈페이지 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캠퍼스 한국학연구소(https://iks.indiana.edu)
정의

2015년 미국 인디애나주 블루밍턴 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캠퍼스에 설립된 한국학 연구 기관.

설립 목적

한국에 대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자료 수집 및 연구를 통하여 인재를 육성하고 미국에 한국을 체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62년 동아시아 언어 문학과에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어 한국학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2015년 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캠퍼스의 해밀턴루가글로벌국제학대학[Hamilton Lugar School of Global and International Studies]으로 편입되어 한국학연구소로 개원하였다. 2016년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부터 한국학 중핵 대학[Core University Program]으로 선정되어 5년간 100만 달러의 육성 사업 지원을 받았다. 일리노이대학교, 켄터키대학교, 루이빌대학교, 퍼듀대학교 등의 한국학 연구진들과 함께 한국과 관련된 문화 및 학술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인문학에 중점을 둔 핵심 학사 교육과정을 개설하였고 사회학을 포함한 프로그램으로 확대되고 있다. 현대 한국문학, 역사와 문화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전쟁 이후 현대 한국학의 중심 연구소로 자리 잡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학제간 접근 방식[Interdisciplinary approach]을 추구하고 학생, 교수,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국의 문화와 응용 사회정책[Applied Social Policy] 교육 및 연구에 중점을 두며 이를 위해 세미나, 학회, 영상 세미나, 문화 행사 등을 주최한다. 주요 활동은 한국학 세미나 및 강연 개최, 다른 학술 기관과 공동으로 국제 학술 대회 및 모임 주관, 한국학 연구과제 수행, 한국에 관련된 정책에 관한 포럼 제공, 학부 연구의 날 개최, 한국영화 주간 개최, 인디애나대학교와 지역사회에 한국에 관한 문화 행사 개최, 한국학에 필요한 교재 발간, 인디애나대학교 도서관의 한국 관련 장서 확충에 대한 자문, 한국학에 관련된 모든 사안에 대한 지원, 한국학 과목 개설 등이다. 또한 방문 학자와 박사후연구원이 소속되어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현황

동아시아 언어 및 문화 역사 전공 8명의 전임교수로 구성되어있다. 2021년 현재 연구소장은 김승경 교수이다. 아시안 언어 및 문화학과를 통하여 제공되는 학부 과목으로는 ‘동아시아의 문학’, ‘현대 한국사’, ‘한국의 데이팅, 성, 결혼 제도’, ‘한국의 대중문화’ 등이 있다. 현재 미국 남중서부의 한국학 허브로서 파트너 대학과의 한국학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0년 한국학 석사 졸업생을 처음으로 배출하였고 매년 5명의 대학원 학생을 유지하고 있다. 박사학위 과정 개설도 준비 중이다.

2021년 현재 개설되어 있는 대학원 과목으로는 ‘분단된 국가’, ‘분단된 애국심’, ‘현대 한국문학 번역’, ‘현대 한국사’, ‘한국의 역사 기록학’ 등이 있다. 인근 4개 대학[퍼듀 대학교, 일리노이대학교, 켄터키대학교, 루이빌대학교]과의 지역 파트너십을 통해 미국 심장부 지역인 중서부에 한국학을 전파하고 있으며, 한국영화 상연전, 한국의 밤 행사 등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 개최를 통해 한국과 한국 문화를 알리고 있다.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부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타 대학 한국학 과정 학생과의 연구 교류 프로그램, 한국어 말하기 대회, 한국문학 독후감 대회 등이 있다.

참고문헌
  • 「김승경: 미국의 심장부에의 한국학 설립: 사회과학과 정책 및 문화적 유창성」(『KSPS 온라인 소식지』78, 2018. 4. 25.)
  • K. Seidel, 「인디애나 대학 국제교류처(CEFIA) 뉴스레터」194(2020. 9.)
  • 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캠퍼스 한국학연구소(https://iks.indiana.edu)
  • 인터뷰(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캠퍼스 한국학연구소 소장 김승경, 2021. 11. 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