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Binghamton Univers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
한자 | -大學校韓國學- |
영문 | Center for Korean Studies, Binghamton Univers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미국 뉴욕주 빙엄턴 베스털 파크웨이 이스트 4400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2010년 |
---|---|
최초 설립지 | 미국 뉴욕주 빙엄턴 베스털 파크웨이 이스트 4400 |
현 소재지 | 미국 뉴욕주 빙엄턴 베스털 파크웨이 이스트 4400 |
원어 항목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Binghamton Univers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원어 주소 | 4400 Vestal Parkway East, Binghamton, NY 13902, USA |
영문 주소 | 4400 Vestal Parkway East, Binghamton, NY 13902, USA |
성격 | 연구 기관 |
설립자 | 빙엄턴대학교 |
전화 | 607-777-2000 |
홈페이지 | 빙엄턴대학교 한국학센터(https://www.binghamton.edu/cks) |
2010년 미국 뉴욕주 빙엄턴대학교에 설립된 한국학 연구 기관.
한국 관련 예술, 역사, 미국 내 한국인의 역사, 경제, 언어, 언어학, 문학, 사회학, 정치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을 이해하고 연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10년 빙엄턴대학교[Binghamton Univers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의 아시아학과 내에 개설되었다. 1998년 찰스 김[Charles M. Kim]이 내놓은 거액의 기부금과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부터 받은 한국학 핵심 대학 프로그램 그랜트로, 2011~2016년 대학 내 다양한 전공 분야 교수들과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상호 문화 간[intercultural] 연구 교류 활동이 활성화되어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학부와 석사 과정에 한국학 전공 및 부전공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으며 한국학 전공은 아시아학과[Department of Asian and Asian American Studies]에 개설되었다. 학술회 개최, 한국학 연구과제 개발 및 지원, 세미나, 강연, 한국 관련 연구 결과 출판, 한국학 기반 강화 모색 및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대학교수, 연구원, 언론인, NGO 종사자, 공무원, 예술가 등의 방문 연구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한국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대학 내에서 한국의 문화에 관한 행사를 주최하여 빙엄턴대학교와 지역사회가 한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는 것도 한국학센터의 중요한 사업에 속한다. 특히 전시회, 영화제, 강연, 학술회의 등 대중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수들의 연구 및 빙엄턴대학교 도서관의 한국 관련 장서 확보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저명한 한국학 학자 초청 세미나, 한국학 연구 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연구 지원금 등을 제공하고 있다.
2021년 현재 연구소장은 조성대 교수이다. 연구진은 6명의 연구소 소속 전임교수와 다른 연관 학과 소속 18명의 겸임교수로 구성되어 있고 학국학 학사 및 석사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전임교수와 겸임교수의 전공 분야는 한국어학, 한국과 현대 동아시아학, 의학 및 건강, 아시안 아메리칸의 문학과 문화, 아시안 디아스포라, 동아시아의 경제개발, 노동경제학, 한국어 교육, 철학, 역사, 경제, 정치, 사회, 사회사업, 교육, 고고학, 인력개발, 경영, 예술사 등으로 다양하다. 소속 교수들의 학술 활동은 한국학 관련 학술 대회와 세미나 개최, 강연, 연구, 출판물 간행이 포함된다. 최근의 학술 활동으로는 초청 세미나 ‘한국의 법원’[토머스 랭커스터 교수, 에모리대학교], ‘북한과 트럼프의 외교’[힐러리 아자트 교수, 빙엄턴대학교] 등이 있으며, 학과 소속 교수들의 최근의 저서로는 『국가 표준 과제를 위한 교과과정 개발과 평가 기준』[2018], 『소설을 통하여 본 북한의 여성, 성, 회고』[2018], 『식민지 시대 한국의 여성과 의학』[2019], 『한국어 음운학 입문』[2020], 『현대 한국의 사회기술[Sociotechnical]적 상상』[2021], 『한국어 음운학 핸드북』[2021] 등이 있다.
빙엄턴대학교 도서관에 다양한 한국학 관련 자료와 서적이 소장되는 데 기여하였으며, 아시아와 아시안디아스포라연구소, 중국 오페라공자학원, 국제학생학자서비스센터, 국제교육교류센터, 뉴욕주립대학교 연구재단 등 대학 내 다른 연구소 및 기관들과 연계하고 있다. 2020년 3월 코로나19가 시작된 이후 한국학센터 주관으로 개최할 예정이던 학회, 세미나, 워크숍, 콜로키엄, 강연, 문화 행사, 장학 프로그램, 교환학생·방문자 연구 프로그램이 잠정적으로 중단되었으나, 강의와 세미나는 온라인 형식으로 계속되었다. 2022년 봄 학기 대면 강의가 시작되면서 한국학센터의 모든 프로그램도 활성화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