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Center for Korean Research,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
한자 | -大學校韓國學硏究- |
영문 | Center for Korean Research,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웨스트몰 1855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93년 |
---|---|
최초 설립지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웨스트몰 1855 |
현 소재지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웨스트몰 1855 |
원어 항목명 | Center for Korean Research,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원어 주소 | 1855 West Mall, Vancouver, BC V6T 1Z2, Canada |
영문 주소 | 1855 West Mall, Vancouver, BC V6T 1Z2, Canada |
성격 | 연구 기관 |
설립자 |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
전화 | 604-822-1843 |
홈페이지 |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한국학연구센터(https://ckr.iar.ubc.ca) |
1993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에 설립된 캐나다 최초의 한국학 연구 기관.
한국에 대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자료 수집 및 연구를 통하여 인재를 육성하고 캐나다에 한국을 체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2년부터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 캐나다 최초로 한국에 관한 과목이 개설되었고, 한국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됨에 따라 브리티시컬럼비아(British Columbia)주 밴쿠버(Vancouver) 지역의 한인 사회, 코리아 파운데이션, 포항제철, 삼미그룹 등이 기관 설립을 위한 기부금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1993년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아시안연구소 소속 연구소로 한국학연구센터가 설립되었으며, 한국어, 한국문학, 역사, 정치, 음악,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들이 지역사회 및 국제 교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협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학 관련 연구과제 수행 및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세미나, 워크숍, 강연, 학술 행사 등을 개최하며, 한국학 학자 교류 프로그램 및 대학원생들의 한국학 연구를 지원한다. 또한 한국과 일본, 미국 등의 대학 및 연구소와의 인적 교류를 통하여 한국학과 캐나다의 공통적 관심 분야를 연구한다.
12명의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학과장은 로스 킹(Rose King) 교수이다. 전공 분야는 한국어, 한국문학, 정치학, 아시안 스터디, 인류학, 민족음악학, 일본사와 종교 문화, 공공정책 등이다. 북미와 일본, 한국의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국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교류 대상 기관으로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고려대학교 동북아문화교류연구소,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국립제주대학교 달마문화연구소, 규슈대학교 한국학연구센터를 비롯해 한국학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미국 대학[워싱턴대학교, 하와이대학교,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시카고대학교, 미시간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하버드대학교, 스탠퍼드대학교] 등이다.
최근에는 박경애 교수가 중심이 되어 북한 학자들과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북한 사회에 관한 학술적 이해와 연구가 특기할 만하다. 또한 대학원생과 교수들을 위한 단기 연구과제의 연구비 지원, 한국 성균관대학교와의 교환학생,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한국학과 방문 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활발한 인적 교류를 통한 한국학 연구 및 교육의 활성화를 추구하고 있다. 워크숍 프로그램을 통하여 소속 교수와 국제 교류 연구자, 대학원생들이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는데 최근의 워크숍 주제는 위안부에 관한 소설의 해설, 한국 공립학교의 교복 문화에 관한 고찰, 한국의 의상 및 패션, 북한의 문학 작품에 나타난 여성들의 삶, 문화 대사[Cultural Ambassadors]로서의 한국의 아이돌 문화 고찰, 5.18민주화운동의 증인 등 매우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