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

원어 항목명 The Grass Roof
한자 草堂
영문 The Grass Roof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세계)/문학 작품
지역 미국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898년
저자 몰년 시기/일시 1972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1931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1999년
원어 항목명 The Grass Roof
성격 장편소설
작가 강용흘
정의

1931년 출간된 미국 이민 1세대 시인이자 소설가인 강용흘의 첫 영문 장편소설.

개설

『초당』은 1931년 미국 뉴욕 C. 스크라이브너스 선스[C. Scribner's sons]에서 『The Grass Roof』라는 제목으로 간행되었다. 1999년 한국어 번역판 『초당』이 범우사에서 간행되었다. 강용흘(姜鏞訖)[1898~1972]의 자전적 소설로서 강용흘의 출생부터 도미까지의 삶이 일제 강점하의 조선 현실에 대한 묘사와 함께 회상 형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강용흘은 함경남도 태생이며 서울의 오성중학교, 함흥의 영생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21년 한국을 떠나 캐나다를 거쳐 미국 보스턴대학교에서 의학을,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미문학을 전공하였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편집위원을 지냈다.

구성

일인칭 주인공 시점의 회상 구조이다.

내용

주인공 한청파가 회상하는 고향의 모습은 아름다운 자연과 소박하지만 삶에 최선을 다하는 가족으로 요약된다. 한청파는 할머니, 아버지, 작은아버지, 사촌 옥동야 등의 회상을 통해 이들의 삶이 일본의 침략과 수탈을 겪으며 어떻게 황폐해져 갔는지 선명하게 보여 준다. 유년 시절 한청파의 이상이던 ‘박사’는 한일 병합 이후 서양의 과학을 배워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수정되고 그 실현을 위해 서울과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가 선진적인 배움을 얻고자 한다. 3.1운동의 좌절 이후 여러 시도 끝에 결국 루터라는 선교사의 도움으로 도미에 성공하며 소설은 마무리된다. 『초당』은 한청파의 성장담이면서 동시에 옛 선비 정신을 비롯한 우리 민족의 얼과 당시 격변하는 조선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소개한 민족지로서도 평가받고 있다.

특징

각 장의 도입부에 아서 오쇼오니시, 로버트 브라우닝(Robert Browning), 김천택(金天澤) 등 일본과 서양과 조선의 유명 시인의 작품뿐 아니라 주인공 한청파가 직접 지은 시나 한용운(韓龍雲) 등의 유명 시인의 작품을 삽입하여 동서양을 아우르는 교양을 보여 준다.

의의와 평가

한국의 세시풍속이나 서사 내용과 어울리는 시조나 한시 등이 인용되어 있어 한국의 문화를 서양 세계에 알린 작품으로 평가된다. 구겐하임 상, 북 오브 센추리 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 강용흘, 『초당』(범우사, 1999)
  • 채근병, 「재미한인문학에 나타난 탈식민성 연구: 강용흘, 김은국, 이창래의 작품을 중심으로」(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