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영웅 김영옥』

한자 -英雄金永玉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세계)/문학 작품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편찬|간행 시기/일시 2008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2011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2012년
성격 평전
작가 한우성
정의

2008년 재미 한인 언론인 한우성이 전쟁 영웅 김영옥의 일생을 담아 출간한 평전.

개설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은 MSN닷컴이 선정한 미국 역사상 최고의 전쟁 영웅 16인 중의 1인이며 미국에서 최초로 한국인 이름을 딴 김영옥중학교[Young Oak Kim Academy]의 주인공인 김영옥의 일생을 기록한 책이다. 2005년 한우성이 쓴 『영웅 김영옥』이 북스토리에서 출간되었고, 2008년 보급판으로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이 나무와숲에서 출간되었다. 한우성은 집필을 위해 1997년부터 약 7년 동안 김영옥의 일생을 취재하였다.

한우성은 연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미주한국일보』 기자를 거쳐 프리랜서 언론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 뉴 아메리카 미디어(New America Media) 한국부장, 유엔인권정책센터 이사를 지냈다. 미국 PBS-TV 세계의 기자 시리즈 ‘데모크라시 온 데드라인(Democracy on Deadline)’, 『월스트리트저널』 ‘미국을 새롭게 하는 소수계 기자’에 선정되었다. 한국기자상, 미국 소수계 기자상, AP통신 기자상을 수상하였다.

구성

김영옥의 일대기를 총 7부로 구성하여 김영옥의 사진, 연보와 함께 담고 있다. 제1부 ‘한국의 아들’의 소제목은 로마 해방 전, 독립운동가의 아들이다. 제2부 ‘유럽 전선을 물들인 김영옥 신화’의 소제목은 타고난 장교, 인종차별과 편견을 뛰어넘어, 악몽의 몬테 카시노 전투, 신화의 시작, 벨베데레 전투, 피사 해방 전이다. 제3부 ‘사선을 넘나들며’의 소제목은 브뤼에르 탱크 작전, 비운의 비퐁텐, 영웅의 귀환이다. 제4부 ‘아버지의 나라’의 소제목은 다시 입은 군복, 아버지의 나라로, 한국의 유격대, 소양강 철수 작전, “우리는 들풀이오”이다. 제5부 ‘부활하는 김영옥 신화’의 소제목은 38선에 부활하는 신화, 전환점, 휴전선 60킬로미터 북상의 주역, 오사카 병원, 다시 한국으로이다. 제6부 ‘영원한 인도주의자’의 소제목은 전장에 꽃피는 사랑, 철의 삼각지대, 한국군 군사고문이 되어이다. 제7부 ‘꺼지지 않는 촛불’의 소제목은 사회적 약자의 수호자이다. 총 595쪽이며, 크기는 127×188㎜이다.

내용

1919년 독립운동가의 아들로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전쟁 영웅으로 활약한 김영옥의 일생을 담고 있다. 김영옥은 재미 교포 2세로서 멸시와 차별, 가난을 극복하고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프랑스, 이탈리아, 한국 정부로부터 최고 무공훈장을 받았다. 1972년 예편 후 평생을 여성·아동·빈민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봉사에 헌신하였으며 2005년 사망하였다.

의의와 평가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 발간 후 김영옥의 이야기가 한국 초등학교 5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2011년 『어린이를 위한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이 루크하우스에서 출간되었다. 2012년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 개정판이 북스토리에서 간행되었다.

참고문헌
  • 한우성,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나무와숲, 2008)
  • 한우성,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북스토리, 2012)
  • 「인천 한국이민사박물관,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 특별전 개최」(『매일일보』, 2020. 9. 26.)
  • 「훈장 거부한 전쟁 영웅 ‘김영옥’을 아십니까」(『서울신문』, 2021. 1. 24.)
  • 「훈장은 부하, 식량은 고아에게… 전쟁 끝나고 영웅은 더 빛났다」(『서울신문』, 2021. 2. 1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