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자』

원어 항목명 The Martyred
한자 殉敎者
영문 The Martyred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세계)/문학 작품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932년 3월 13일
저자 몰년 시기/일시 2009년 6월 23일
편찬|간행 시기/일시 1964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1964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1978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1990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5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5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7년
원어 항목명 The Martyred
성격 장편소설
작가 김은국
정의

1964년 출간된 2세대 한국계 미국 작가 김은국의 영문 장편소설.

개설

『순교자』김은국[Richard E. Kim][1932~2009]의 대표작으로 1967년 노벨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1964년 『The Martyred』라는 제목으로 조지 브레이지어[George Braziier Inc.]에서 출간되었다. 한국에서는 장왕록이 번역한 『순교자』가 1964년 삼중당에서 출간되었고, 도정일이 번역한 『순교자』가 1978년 시사영어사와 2010년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김은국이 직접 번역한 『순교자』가 1990년 을유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김은국은 1932년 3월 13일 함경도에서 태어나 황해도에서 성장하였으며, 2009년 6월 23일 사망하였다. 한국전쟁이 끝난 1955년에 도미하여 미국 미들베리대학교에서 정치학과 역사학을 공부하였다. 1960년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1962년 아이오와대학교 작가 워크숍에서 창작석사학위[MFA]를, 하버드대학교에서 극동문학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매사추세츠대학교 영문과 부교수와 서울대학교 교환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김은국의 다른 소설로 『심판자』[1968]와 『잃어버린 이름』[1970] 등이 있다.

구성

총 4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 강사 출신인 이 대위가 육군 특무대로 평양에 파견되어 육군본부 파견대 정보국장 장 대령의 휘하에서 근무하면서 한국전쟁 때 12명의 목사가 평양에서 순교한 사실을 알게 된다. 살아남은 두 명의 목사를 중심으로 그 사건을 둘러싼 진실을 캐어 들어가는 추리소설 기법으로 진행된다. 345쪽이고 규격 외 변형 판형이다.

내용

한국전쟁 당시의 평양을 배경으로, 이념의 대립으로 인한 비극적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 한국군이 평양을 점령하기 직전 목사 14명이 공산주의자들에게 체포되었는데, 그중 12명이 처형되었고 2명은 살아남았다. 순교한 12명과 살아남은 2명에 대한 진실을 파헤치는 미스터리 형식의 이 작품에서 김은국은 참담한 한국전쟁 속에서 발생한 특수한 사건을 통해 인간의 실존과 운명이라는 주제와 연결시키고 있다. 신앙과 양심의 갈등을 겪는 인간의 모습, 절망에 빠진 인간의 신앙에 대한 실존적 고뇌를 통해 신은 존재하는가, 구원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인간은 한계상황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다.

사건의 진실과 상관없이 기독교적 믿음을 정치적 선전의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정보국장 장 대령, 진실은 진실 자체로서 주어지고 확인되어야 한다고 믿는 조사 임무를 맡은 이 대위, 그리고 거짓으로라도 사람들을 고통으로부터 구원할 수 있다면 그것이 참 진리이며 믿음이라고 생각하는 신 목사 세 사람에 의해 이야기가 진행된다. 결국 구원의 주체에 대한 문제로 귀결되는데, 부조리한 현실의 한계상황에서 신 목사가 선택한 것은 자신의 양심을 팔아서라도 고통 받고 절망하는 자들에게 환상의 사랑을 베풂으로써 그들을 구원하는 것이다. 즉 구원의 주체는 신이 아닌 신 목사이다.

특징

순교한 12명과 살아남은 2명에 대한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이 추리 기법으로 전개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가 영문으로 쓴 소설이 장왕록, 도정일 등에 의해 번역되어 국내에서 출판되었다가 다시 원작자에 의해 한국어판 『순교자』가 발간되었다는 점도 특징이다. 1965년에 유현목 감독에 의해 동명의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1965년 내셔널 북 어워드(National Book Award) 최종 심사에 올랐다. 20주 연속 미주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독일어 등 20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평단으로부터도 큰 호평을 받았다. 『순교자』가 발표되었을 당시 『타임(Time)』은 신앙 대신 절망에서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순교자』는 카뮈의 반열에 선 작품이라 평가하였으며,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한국전쟁의 특정한 상황을 떠나 보편적 인간의 양심을 세심하게 다루는 데 성공한 작품으로 『순교자』를 높이 평가하였다. 이런 호평들로 인해 한국계 작가로는 처음으로 1967년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되기도 하였으며, 미국 주류 문단의 주목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1930년대 『초당[The Grass Roof]』의 작가 강용흘(姜鏞訖)에 이은 2세대 한국계 미국 작가로서 미국 한인 문학의 토대를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 Richard E. Kim, 『The Martyred』(George Braziier Inc., 1964)
  • 김은국 저·장왕록 역, 『순교자』(삼중당, 1964)
  • 김은국, 『순교자』(을유문화사, 1990)
  • 김은국 저·도정일 역, 『순교자』(문학동네, 2010)
  • 장량수, 「사랑-신 없는 세계에서의 구원의 길-김은국 작 〈순교자〉론」(『한국문학논총』17, 한국문학회, 1995)
  • 허명숙, 「궁핍한 시대의 신앙-김은국의 〈순교자〉론」(『숭실어문』14, 숭실어문학회, 1998)
  • 윤정화, 「김은국의 『순교자』론-‘전해들은 자’의 순교, 이산 작가의 글쓰기」(『현대문학이론연구』45,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 「순교자론」(『문학춘추』, 1964. 6.)
  • 「순교자 작가 김은국의 행적을 찾아서」(『신동아』, 2005. 3.)
  • 부산역사문화대전(http://busan.grandculture.net)
  • 한국학중앙연구원(http://www.aks.ac.kr)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