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寫眞新婦-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세계)/문학 작품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
시대 | 현대/현대 |
편찬|간행 시기/일시 | 2017년 |
---|---|
성격 | 단행본|역주 해제본 |
작가 | 문옥표|이덕희|함한희|김점숙|김순주 |
2017년 천연희의 기록을 바탕으로 인류학자들이 해제와 역주를 실어 출간된 책.
1915년 19세의 나이로 하와이에 건너간 ‘사진 신부’ 천연희는 말년에 자신의 일생을 24개의 구술 녹음테이프와 7권의 노트에 기록하였다. 천연희가 남긴 기록을 인류학자들이 정리하여 2017년 일조각에서 『하와이 사진신부 천연희의 이야기』를 간행하였다.
사진 신부는 1910~1920년대 미주 지역의 한인 남성들이 한국의 여성들과 사진을 교환하여 혼인한 중매결혼 또는 그렇게 결혼한 여성을 뜻한다. 600~1,000명이 사진 신부로서 하와이로 건너갔고, 이들로 인해 미주 한인 사회는 기반을 넓히고 발전할 수 있었다. 19세의 나이로 하와이에 건너간 천연희는 자신의 일상생활뿐 아니라 한인 사회의 동향과 독립운동 단체의 활동, 이에 대한 정치적 의견 등을 진솔하게 남겼다. 일제 강점기에 이역만리의 땅에서 아내와 어머니로뿐만 아니라 사업가로, 조국의 독립을 염원한 한국인으로 자신의 삶을 개척한 천연희의 기록은 이민사, 여성사, 구술 기록사, 언어학적 변천사 등 다양한 분야의 1차 사료로뿐만 아니라 굴곡진 시대를 통과한 한 여성의 자전적 이야기로도 깊은 감동을 준다.
천연희 개인의 기록뿐 아니라 공문서와 편지, 사진 등이 함께 실려 있어 초기 한인 이민사, 여성사 등 여러 분야의 기초 연구 자료로서의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