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금파리 한 조각』

원어 항목명 A Single Shard
영문 A Single Shard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세계)/문학 작품
지역 미국 뉴욕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960년 3월 25일
편찬|간행 시기/일시 2001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2002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원어 항목명 A Single Shard
성격 창작동화
작가 린다 수 박
정의

2001년 출간된 재미 한인 2세 린다 수 박의 세 번째 영문 창작동화.

개설

『사금파리 한 조각』은 고아 소년 목이가 도공으로 성장하는 이야기를 소재로 쓴 창작동화이다. 2001년 『A Single Shard』이라는 제목으로 미국 클라리온북스(Clarion Books)에서 출간되었다. 한국어 번역판 『사금파리 한 조각』이 2002년 서울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린다 수 박(Linda Sue Park)[한국명 박명진]은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나고 자랐으며 부모가 한국인인 한인 2세이다. 스탠퍼드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한 후, 음식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다가 어린 시절부터의 취미를 살려 동화를 쓰기 시작하였다. 린다 수 박의 작품으로는 『널뛰는 아가씨[Seesaw Girl]』[1999], 『연싸움[The Kites Fighters]』[2000], 『사금파리 한 조각[A Single Shard]』[2001], 『내 이름이 교코였을 때[When My Names Was Keoko]』[2002], 『비빔밥(Beebimbob)』[2005] 등의 장편동화와 최근작인 『초원의 연꽃[Prairie Lotus]』[2021], 『지붕 위의 탭댄스』[2016], 『해리스 버딕과 열네 가지 미스터리』[2015] 등 총 160여 종이 있다. 『사금파리 한 조각』으로 미국 최고의 아동문학상인 뉴베리상을 수상하였고, 『내 이름이 교코였을 때』로 제임 아담스 도서상을 수상하였다. 린다 수 박은 주로 어린이를 독자로 한 동화를 쓰며 한국 전통문화나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현재 린다 수 박은 뉴욕에서 아일랜드인 남편과 두 아이와 살고 있다.

구성

2권으로 된 창작동화이며,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 각 장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1장 ‘도자기 빚는 마을, 줄포 다리 밑에는 고아 소년 목이와 두루미 아저씨가 산다’, 2장 ‘목이는 도공 민영감의 도자기를 깬 빚을 갚기 위해 그 밑에서 일을 하게 된다’, 3장 ‘도자기 빚는 꿈을 품은 목이에게 나무하고 진흙 퍼오는 일은 힘들지만 보람차기만 하다’, 4장 ‘이제 진흙 거르는 기술을 배우는 목이는 민 영감에 대해서 점차 알아가는데’, 5장 ‘겨울나기를 준비하는 목이는 또 다른 도공 강 영감의 비밀을 알게 된다’, 6장 ‘왕실 김도관이 줄포에 와서 왕실 일을 해 줄 솜씨 좋은 도공을 찾는다’, 7장 ‘평생 소원을 이루고자 정성을 다해 도자기를 빚는 민 영감, 그러나’.

제2권 각 장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8장 ‘민 영감의 솜씨를 알아본 감도관이 찾아오고 목이는 용기를 내어 자신의 꿈을 민 영감한테 말하지만’, 9장 ‘민 영감의 희망을 실은 지게를 지고 목이는 머나먼 길을 떠난다’, 10장 ‘하루에 마을 하나씩, 고개 하나씩 넘는 목이, 여우를 만난다’, 11장 ‘꽃잎이 지듯 떨어지는 궁녀들을 생각하며 낙화암에 이른 목이에겐 뜻밖의 일이 기다리고 있는데’, 12장 ‘고려의 서울, 송도에 도착한 목이는 궁궐을 찾아가 왕실 감도관을 만나게 해 달라고 간청한다’, 13장 ‘줄포에 도착한 목이는 제일 먼저 민 영감을 찾아가 뜻밖의 소식을 듣는다’.

내용

한국의 장인들이 불후의 명작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삶을 바치던 치열한 모습과 주인공 소년 목이 도공으로 자아를 실현하는 성장과정이 그려져 있다. 도공 민 영감과 목이가 서로의 결여를 보완하고 융합함으로써 민 영감은 왕실 도공이라는 명예를 획득하고 목이는 도공으로 성장하는 한편 고아라는 신분을 벗어나 가족을 얻게 된다. 유지현은 「융합과 승화의 도정-린다 수 박의 『사금파리 한 조각』 연구」에서 ‘길고 고단한 융합과 승화의 과정을 통해 완성된 도자기의 영원성은 이 작품이 지향하는 중심적 가치’라고 파악하였다.

특징

『사금파리 한 조각』의 주인공인 고아 소년 목이가 12세기의 고려시대를 살아가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지닌 인물로 설정됨으로써 현대의 아동 독자들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썼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자기라는 전통적 소재를 한 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과 성숙이라는 보편적 주제와 결합시켜 교훈과 흥미를 주며, 탄탄한 구성과 섬세한 문체로 써서 폭넓은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2002년 아동문학 분야 최우수 작품상이라는 뉴베리상을 동양인 최초로 수상한 작품이다. 뉴베리상 수상 이후 교사들의 추천 도서 목록에 『사금파리 한 조각』이 포함되면서 미국의 청소년 교육과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부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적 정서와 전통을 책으로 세계에 알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매우 크다.

참고문헌
  • Linda Sue Park, 『A Single Shard』(Clarion Books, 2001)
  • 린다 수 박, 『사금파리 한 조각』(서울문화사, 2002)
  • 『서평문화』 49(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2003)
  • 김신정, 「다문화성과 한국계 미국문학의 의미망: 린다 수 박의 작품을 중심으로」(『현대문학의 연구』25, 한국문학연구학회, 2005)
  • 신정순, 「『사금파리 한 조각』에 나타난 인물과 공간 구조」(『국제한인문학연구』3, 국제한인문학회, 2006)
  • 최현희, 「한국계 미국청소년소설 연구: 다문화 문학에 나타난 통합과 저항의 정치성」(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유지현, 「융합과 승화의 도정-린다 수 박의 『사금파리 한 조각』 연구」(『우리어문연구』38, 우리어문학회, 2010)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