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facing Sadness』

원어 항목명 Surfacing Sadness
영문 Surfacing Sadnes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세계)/문학 작품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941년
저자 몰년 시기/일시 2021년
편찬|간행 시기/일시 2003년
원어 항목명 Surfacing Sadness
성격 선집
작가 최연홍|김행자
정의

2003년 재미 한인 작가 최연홍과 김행자가 편저하여 간행한 재미 한인 작가들의 영문 작품 선집.

개설

『Surfacing Sadness[떠오르는 슬픔]』는 최연홍(崔然鴻)[Yearn Hong Choi][1941~2021]과 김행자[Haeng Ja Kim]가 미주 한인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여 37명의 재미 한인 작가들이 창작한 시, 에세이, 단편소설을 영역하여 발표한 작품 선집이다. 2003년 뉴저지주 듀몬트의 호머 앤드 세키 북스(Homa&Sekey Books)에서 간행되었다.

구성

시 79편[시인 26명], 수필 4편, 단편소설 7편이 수록되어 있다. 수록 작품 목록과 해당 작가명은 다음과 같다.

1. 시[Poetry]

박남수[Nam Soo Park]의 「Seagull」, 「Name Analysis」, 「Autumn Embedded with Black Seed」, 「Guggenheim Museum」, 「Daytona Beach」, 「Deer」 등 6편

고원(Ko Won)의 「Born Again in Dark Tears」, 「L. A. Elegy」 등 2편

김병현[Byong Hyon Kim]의 「Disapproving Reaction」, 「A Road Farthest from This Life」 등 2편

최연홍[Yearn Hong Choi]의 「Black Korean」, 「Journeys to Korea」, 「Sound of Water」, 「For a Reunion」, 「The Woods」, 「March」 등 6편

김행자[Haeng Ja Kim]의 「Like a Dandelion Seed」, 「February」, 「Flower of Ice」, 「Longing for the Homeland」, 「That Autumn」 등 5편

김용팔[Yong Pal Kim]의 「Im-jin River」, 「Echo」, 「At the Backyard」, 「Dusk」 등 4편

조윤호[Yoon Ho Cho]의 「A Dandelion」, 「The Two Faces of Love」 등 2편

최정자[Jung Ja Choi]의 「Tulip」, 「Fallen Leaves 1」 등 2편

곽상희[Sang Hee Kwak]의 「To A Jewish Poet-for Yaffa Zins」, 「The Manhattan Sky-9.11」 등 2편

김호길[Ho Gill Kim]의 「Meditation」, 「Cold Mountain」, 「Snow Talk」, 「Interrogation」, 「Niagara Falls」 등 5편

한혜영[Hye Young Hahn]의 「A Dry Cleaner Ironing the Pacific Ocean」, 「Two in the Afternoon Protest」 등 2편

송순태[Soon Tae Song]의 「Transfer」, 「Winter Star」, 「Dust」, 「Television」, 「Photograph」 등 5편

배미순[Mee Soon Bae]의 「Canvas」, 「Eulogy to Women」 등 2편

정용진[Yong Chin Chong]의 「Holding up High the Torch of Korea's Spirit」 등 1편

김문희[Moon Hee Kim]의 「Magnolia」, 「Grafting」, 「May's Sunlight」 등 3편

윌리엄 D. 전(William D. Chun)의 「An Alien's Elegance I」, 「An Alien's Elegance II」, 「However, Homeland Is in Spring Yet」 등 3편

조성희[Sung Hee Cho]의 「Long Weekend」, 「Shadow Reading」 등 2편

김정미[Chung Mi Kim]의 「Brother」, 「Returning」, 「Off to the Grammys」, 「I am」 등 4편

이장윤[Chang Yun Lee]의 「Daily Bread」, 「Sky Above the Orchard」 등 2편

사무엘 장현 임[Samuel Chang Hyun Yim]의 「Father and Seal」, 「And the Day After」 등 2편

임혜신[Hye Shin Lim]의 「Cold Medicine」, 「Worn Wooden Pier」, 「A Woman Worker Eating a Mango」 등 3편

권귀순[Kwi Soon Kwon]의 「Apricot Blossom」, 「Evening Birds」, 「Sleep on the Fallen Leaves」 등 3편

백순[Soon Paik]의 「Spring Rain」, 「Rain Drops」, 「Sound of Autumn」, 「Resurrection」, 「Annapolis」 등 5편

서량[Ryang Suh]의 「Fried Locusts」, 「Bear Mountain Sonata」 등 2편

김영교[Young Kyo Kim]의 「Traffic Lights」, 「Music」 등 2편

신덕재[Duk Jae Shin]의 「You」, 「Go to Alaska to Get Aurora Down in Your Palm」 등 2편

2. 수필[Essays]

장대욱[Dae Wook Chang]의 「At a Grocery Store」, 이계향[Ke Hyang Lee]의 「By the Window」, 변완수[Wan Soo Byun]의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이재상[Jay Sang Rhee]의 「Father and Son」

3. 단편소설[Short Stories]

김용익[Yong Ik Kim]의 「The Wedding Shoes」, 송상옥[Sang Ok Song]의 「Echo」, 한용[Young K. Hahn]의 「Guest」, 엘시 혜령 김[Elsie Hyer Yung Kim]의 「The Swallow」, 안설희[Seul Hee Ahn]의 「A Tale from the Cornfield」, 윤미아[Mia Yun]의 「The Carp」, 박경숙[Kyung Sook Park]의 「The Caveman Who Left His Cave Country」

특징

『Surfacing Sadness』에 실린 작품은 김용익의 「The Wedding Shoes[꽃신]」와 같이 미국 독자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작품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미발표작이다. 따라서 ‘Surfacing Sadness[떠오르는 슬픔]’라는 제목은 이민 1세대 재미 한인 작가들이 고단한 현실 속에서 창작하였지만 세상의 빛을 보지 못한 작품들이라는 의미에서 붙인 것이다.

『Surfacing Sadness』에 실린 작품의 내용은 초기 한국계 이민자들의 이민사[「Black Korean[검은 한국인]」[최연홍], 「Like a Dandelion Seed[민들레 씨앗처럼]」[김행자], 「Brother[나의 형제]」[김정미]와 타국에서 이민자로 살아가는 한인들의 어려운 삶[「Father and Son[아버지와 아들]」[이재상]과 관련한 것이다. 그 외에도 고국에 대한 그리움, 슬픔, 향수, 연민, 분노, 절망, 좌절, 희망, 욕망 등 다양한 감정을 문학적 언어로 형상화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언어의 장벽 때문에 미국 문학의 주류에 들어가기 어려운 이민 1세대 재미 한인 작가들의 작품을 모아 영역함으로써 우수한 작가와 작품을 미국 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수록된 작품을 통해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소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 Yearn Hong Choi·Haeng Ja Kim, 『Surfacing Sadness』(Homa&Sekey Books, 2003)
  • 『북미주 한인의 역사』하(국사편찬위원회, 2007)
  • 류선모, 「서평: 『떠오르는 슬픔(Surfacing Sadness)』(『현대영미소설』 10-2,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0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