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Leisure Life of Korean American in the United States |
---|---|
한자 | 在美韓人-餘暇生活 |
영문 | Leisure Life of Korean American in the United States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개념 용어(세계)/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미국 |
시대 | 현대/현대 |
원어 항목명 | Leisure Life of Korean American in the United States |
---|
재미 한인이 직업생활 외에 일이 없는 시간에 하는 취미 활동 등의 생활.
여가생활은 직업에 소모하는 시간 이외에 취미 활동 따위를 하는 일상생활을 의미하며, 스포츠, 티브이(TV) 시청, 라디오 청취, 한국 방송 보기, 교회 나가기, 독서, 글쓰기, 사교 모임 등 다양한 범주의 활동이 포함된다. 여가생활은 혼자서 혹은 다수의 인원이 함께 할 수 있는 활동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재미 한인의 여가생활은 미국에서의 적응을 증명하거나 모국 문화를 다시 만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가중되는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해소하려는 방법으로 여가 활동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여가생활에는 건강 유지, 가족 간의 유대 증진, 사회적 관계 증진, 심리적 안정과 같은 사회 심리적인 혜택이 있다.
재미 한인의 여가생활은 크게 지역별 그리고 나이별 구분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교류하는 방식이 달라졌으며, 여가생활의 목적에 따라 거주 지역이나 관심 분야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산악회, 골프, 볼링 등 여러 인원이 함께하는 스포츠나 여가생활은 재미 한인들의 중요한 교류 공간으로 활용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나 여가생활에 ‘친목’과 같은 교류를 모임의 목적으로 밝히는 경우가 많았다.
다시 말해 한인들 간의 교류가 여가생활만큼 중요한 의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한국어가 영어보다 익숙한 1세대, 1.5세대의 재미 한인들에게서 나타났다. 여가생활은 미국 생활에 필요한 정보가 오가는 장이 되기도 했으며, 한국 문화와 전통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아가 심리적인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나이가 어린 한인 이민자나 한인 2세대의 경우 언어적인 어려움이 없더라도 한국 문화 및 언어, 그리고 같은 민족과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있는 태권도와 같은 여가 활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학생의 경우 대학 입시에 과외 생활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피아노나 바이올린, 플루트, 첼로와 같은 악기 연주와 스포츠에도 많은 시간을 보낸다.
각자의 여가생활 이외에도 미국에서는 가족과 보내는 시간도 중요하게 여긴다. 일요일에 온 가족이 교회에 간다거나, 함께 소풍하는 것과 같이 가족 간 유대를 키우는 여가생활이 자연스러운 일상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나 교회는 재미 한인들의 사생활과 여가생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재미 한인의 여가생활은 시간이나 언어적인 어려움, 익숙하거나 선호하는 시설의 부재, 혹은 정보의 부족 등으로 인해 제약을 당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