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한인의 가정생활

원어 항목명 Home Life of Korean American in the United States
한자 在美韓人-家庭生活
영문 Home Life of Korean American in the United State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세계)/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Home Life of Korean American in the United States
정의

미국 지역으로 이주한 한국인들의 가정생활.

개설

재미 한인의 미국 생활 적응은 가족관계 및 가정생활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가족 간 유대 관계는 비교적 강하게 나타난다. 이주 경험은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주로 인해 한국 전통의 유교사상과 미국의 현지 문화와 같은 사회문화적 변화를 겪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문화는 한인 가정에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가족 내 문화가 지역사회와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다. 특정한 형태의 가부장제나 전통문화가 미국으로 이주한 후에도 남아 있는 경우가 있지만, 주변의 노동시장과 가정 형태, 새로운 문화적인 이데올로기와 다른 자본들로 인해 한국 내 가족관계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다시 말해, 재미 한인 가정의 이주 경험은 유교사상과 미국의 현지 문화,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해 가족관계의 변화를 겪게 된다.

가족관계

재미 한인의 가족관계는 크게 부부관계와 부모와 자식 세대 차이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민 경험이 있는 1세대, 다시 말해 부부의 관계에선 출신국과 거주 국가의 가족 내 성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로 인한 갈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대개 가정에서 부인이 대부분의 가사 노동을 담당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생활에서의 적응을 위해, 혹은 가족 부양을 목적으로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인 가족생활과는 다르게 ‘전통적 여성 역할’을 수행할 것이 기대되면서 한인 이민 부부 간의 갈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에서와는 다르게 이주 후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인 관계나 자본으로부터의 단절이 가정을 통해 완충되기 때문에 가족관계가 한국에서보다 밀접해지기도 한다.

부부관계와는 다르게 부모 자식 관계는 여러 가지 양상을 보였다. 부모·자식 간 세대 차이는 가족 내 문화나 젠더 차이뿐 아니라 각 가정의 차이를 넘는 사회적인 문제 역시 포함하는데, 재미 한인 가정의 경우 이는 민족공동체와 미국 사회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한인 부모는 한국적인 정서나 가치를 유지하지만, 자녀는 미국적인 사고방식과 언어를 가지고 생활하면서 나타나는 갈등 관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부모는 부모·자식 관계에서 위계질서를 기대하는 반면 자녀는 이보다는 개인의 주장이나 독립성에 집중한다. 또한 부모는 한국어를, 자녀는 영어를 사용하기에 다른 사고방식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간 소통의 수단인 언어의 차이 역시도 갈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가정생활의 중요성

이민자들에게 가족은 미국 적응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민자의 경우 가족, 지역사회 및 친구와 같은 비공식적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의 적응을 위해 영어 및 사회적 자본을 갖추기까지 다양한 스트레스 요소에 노출되는데, 이때 가족의 지지나 원만한 가족관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 내 한인 가정에선 대체로 한국 문화권의 특징을 보여, 이민 경험에도 불구하고 문화 변화가 적다. 또한 자녀 세대에게 한국식 가치를 물려주려는 의지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 내 소수민족으로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이선미, 「재미 한인 여성 가정생활 복지실태」(『한국동북아논총』31, 한국동북아학회, 2004)
  • 박명숙·강희경, 「미국 이민 여성의 심리적 복지와 관련 변인」(『사회과학연구』25-1,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 배정이·김윤정, 「미국 이민자의 스트레스 구조 모형」(『스트레스연구』17-4,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 Lim In-Sook, 「Korean immigrant women's challenge to gender inequality at home: The interplay of economic resources, gender, and family」(『Gender&Society』11-1, 1997)
  • Chung Angie, 「The changing dynamics of race, class and gender relations in contemporary Korean immigrant families」(『A Companion to Korean American Studies』, Brill, 201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