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Korean Cultural Festival |
---|---|
한자 | 韓國文化祭 |
영문 | Korean Cultural Festival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행사(세계)/행사 |
지역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시대 | 현대/현대 |
시작 시기/일시 | 1959년 10월 25일 |
---|---|
행사 장소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주관 단체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원어 항목명 | Korean Cultural Festival |
원어 주소 | New York, NY 10027, USA |
영문 주소 | New York, NY 10027, USA |
행사 시기/일시 | 1959년 10월 25일 |
1959년 미국 뉴욕 컬럼비아대학교 맥밀런극장에서 개최된 한국 문화 축제.
한국문화제[Korean Cultural Festival]는 1959년 뉴욕 지역 학생회 회장으로 당선된 김일평의 주도로 미국의 한인 사회를 넘어 미국 사회 전반에도 한국 문화를 전파하고,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개최된 한국 문화 축제였다. 한국전쟁 이후 미국에서 최초로 열린 한국의 문화제이기도 하다.
1959년 컬럼비아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김일평이 뉴욕 지역 학생회 회장에 당선된 직후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축제의 개최를 계획하였다. 이어 같은 해 10월 25일 컬럼비아대학교 맥밀런극장에서 미국 동부 지역 한인 유학생들의 적극적인 협력 및 참여 속에 한국문화제가 개최되었다.
한국문화제는 크게 1부와 2부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1부에서는 성악과 피아노 등의 악기를 연주하고, 2부에서는 한국의 무용과 장고, 부채춤 등을 공연하였다. 미국인과 한국인 500여 명이 참석했고, 한국전쟁 참전 용사들도 가족과 함께 참여하였다. 행사 경비는 당시 주뉴욕 총영사관과 ‘한국 유엔(UN) 참관단[Korean Observer's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으로 활동하고 있던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가 후원하였다. 주뉴욕 총영사관 관계자,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대사, 코리아 소사이어티(The Korea Society) 대표 제임스 A. 밴 플리트(James A. Van Fleet) 등도 참석하여 축사를 하였다.
한국 식당이 하나도 없던 지역이라서 저녁 식사는 한국음식을 직접 요리하여 마련하였다.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 화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장혜원, 성악가 김복희, 한국 여학생들, 한국 유학생 부인들 등이 뉴욕시 115번가의 한인 교회 지하실 취사장에서 쌀밥과 불고기, 김치 등의 음식을 준비하였다. 한국문화제는 미국 동부 지역의 유학생, 방문 교수, 가족 등이 모두 함께 참여하여 준비했기에 성황리에 개최될 수 있었다.
한국문화제는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잠재력 있는 한인 예술인들의 존재를 미국 사회에 알렸을 뿐만 아니라, 한인 사회의 협력과 교류를 더욱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