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Stony Brook University |
---|---|
한자 | -大學校韓國學科 |
영문 | Center for Korean Studies, Stony Brook University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세계)/학교 |
지역 | 미국 뉴욕주 스토니브룩 니콜스 로드 100 |
시대 | 현대/현대 |
개설 시기/일시 | 1987년 1월 |
---|---|
최초 설립지 | 미국 뉴욕주 스토니브룩 니콜스 로드 100 |
현 소재지 | 미국 뉴욕주 스토니브룩 니콜스 로드 100 |
원어 항목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Stony Brook University |
원어 주소 | 100 Nicolls Road, Stony Brook, NY 11794, USA |
영문 주소 | 100 Nicolls Road, Stony Brook, NY 11794, USA |
성격 | 교육기관 |
설립자 | 박성배 |
전화 | 631-632-7362 |
홈페이지 | 스토니브룩대학교 한국학과(https://www.stonybrook.edu/commcms/korean) |
1987년 미국 뉴욕주 스토니브룩대학교에 설치된 한국학과.
미국 뉴욕주의 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고 한국의 고전을 영어로 번역하여 출간하며 한국의 대학들과 학술, 문화 교류를 통하여 미국 내 한국학의 발전을 추구하는 데 목표를 둔다.
스토니브룩대학교[Stony Brook University]의 한국학 프로그램은 1977년 9월 종교학과에 부임한 박성배 교수가 1979년 5월에 주최한 국제 규모의 원효 사상 심포지움이 성공적으로 치러지자 대학 측이 한국 사상 강좌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1981년 2월 24일 대학 당국이 ‘한국종교학과정설립추진위원회’를 정식으로 발족시켰다. 1981년 3월 4일 스토니브룩대학교의 한국학과 설립을 후원하는 뉴욕 일원의 한인들이 추진 성명을 발표했으며 1982년 제1회 스토니브룩 한국학 발전 기금 모금 ‘한국의 밤’ 행사가 스토니브룩대학교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한국학과설립추진모금위원회’로 명칭이 바뀌고 강자구 박사가 위원장으로 추대되어 범동포적인 모금 운동이 시작되었다. 그 후 모금위원회의 기금 마련 행사와 동포들의 기금, 한국 학술 재단과 개인적인 고액 기부자들의 기부가 계속되어 60만 달러 이상이 모금되었다.
스토니브룩대학교의 정식 한국학 프로그램은 1987년 1월에 시작되었으며 박성배 교수가 초대 학과장으로 임명되었다. 한국학 프로그램의 교과과정은 한국어, 한국 역사, 한국 예술, 한국 철학과 종교 사상 등 4개 분야로 강좌가 개설되었다. 스토니브룩대학교 한국학과는 현재 한국의 많은 대학들과 활발한 학술 교류를 펼치고 있으며, 방문 교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문화 교류와 공동 학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학부생이 졸업 이후 뉴욕주의 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 자격을 획득하는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다. 1997년 한국의 동국대학교와의 협약에 의하여 7세기 신라의 원효대사의 저서를 영문으로 공동 번역하는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하와이대학교 출판부에 의하여 2007년 번역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이 발간되었다. 또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어록을 비롯하여 율곡(栗谷) 이이(李珥), 퇴계(退溪) 이황(李滉) 등 한국의 학자들에 관한 저서를 소속 교수들이 영문으로 출간하여 한국 고유의 사상을 영미권 국가에 소개하고 있다.
6명의 학과 전임교수와 2명의 외부 교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홍경 교수가 학과장을 맡고 있다. 개설된 과목은 한국어, 한국의 문화, 한국의 종교, 현대 한국, 공자 사상과 다오이즘, 불교, 한국 문학, 한국의 언어와 사회, 북한의 언어와 사회, 한국 역사, 한국의 현대 문화, 한국과 일본의 종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 연구 과목도 개설되어 있다. 스토니브룩대학교 한국학과와 자매결연을 맺은 한국 내 대학은 아주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연세대학교, 경원대학교, 충남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이며, 미국 내의 유관 기관으로는 주뉴욕 총영사관, 뉴욕 한국문화원, 뉴욕 코리안 소사이어티, 코리안 아트 소사이어티 등이 있다.
한국학과의 중점 연구과제로 원효의 불교사상과 다산 정약용의 저서를 영문으로 번역하는 사업이 있다. 원효의 저서는 한국의 동국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번역, 해석하고 하와이대학교 출판부에서 연구 결과를 책으로 발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권의 저서가 출판되었다. 조선시대의 사상가인 정약용의 저서를 번역하고 해설하는 사업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으로 2013년 연구과제로 지정되어 시작되었으며, 정약용의 어록을 6권으로 발행할 예정이다. 정약용의 저서는 공자의 사상과 유학에 대한 심도 있는 내용으로 동아시아권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스토니브룩대학교의 번역 사업은 방대한 양의 정약용 어록과 저서를 영문으로 번역하고 해제와 함께 출판하는 사업이다. 1~3권이 2018년까지 완성되어 옥스퍼드대학교 출판부에서 발행되었으며 나머지 3권은 2022년까지 완성될 예정이다. 학부와 대학원생을 위한 장학금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한국학 관련 정기 세미나 시리즈가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