럿거스대학교 한국어 강의

원어 항목명 Korean Major in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Rutgers University
한자 -大學校韓國語講義
영문 Korean Major in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Rutgers University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세계)/학교
지역 미국 뉴저지주 뉴브런즈윅 칼리지 애비뉴 43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92년 9월 7일
최초 설립지 미국 뉴저지주 뉴브런즈윅 칼리지 애비뉴 43
현 소재지 미국 뉴저지주 뉴브런즈윅 칼리지 애비뉴 43
원어 항목명 Korean Major in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Rutgers University
원어 주소 43 College Avenue, New Brunswick, NJ 08901, USA
영문 주소 43 College Avenue, New Brunswick, NJ 08901, USA
성격 교육기관
설립자 뉴저지 한인총연합회
전화 848-932-7605
홈페이지 럿거스대학교 한국어 강의(https://asianstudies.rutgers.edu/86-korean-studies)
정의

1992년 미국 뉴저지주 뉴브런즈윅 럿거스대학교에 설치된 한국어 교육과정.

변천

1992년 9월 7일 럿거스대학교[Rutgers University]의 아시아학과에 한국어 프로그램이 처음 개설되었다. 뉴저지 한인회의 전신인 뉴저지 한인총연합회[당시 회장 이영빈]가 중심이 되어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럿거스대학교에서는 매년 3만 달러의 강좌 운영비 가운데 후원회가 절반인 1만 5000달러를 3년간 부담하고 나머지는 학교 재단이 출연하는 조건에 합의하였다. 한인 동포 사회에 한국학과 후원회가 발족되어 후원회장에 유인석, 상임위원에 지성철[럿거스대학교 약학과 교수], 오다윗 신부 등이 선출되었고, 뉴저지 내 5개 지역 한인회장들이 자동직 위원으로 위촉되면서 모금 활동이 본격화되었다. 모금 운동을 위하여 안트리오 초청 자선 음악회, 기금 모금 골프 대회 등 지역 한인회가 노력하였고 여러 개인 독지가들의 기부로 한국학 지원 기금이 마련되었으며 럿거스대학교에서 요구한 부담금이 완납되어 한국어 과정이 영구 정착되었다.

교육 활동

한국어-영어 번역 및 통역 자격 프로그램[12학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어 과목은 기초 한국어, 중급 한국어, 고급 한국어, 고급 비지니스 한국어1, 2, 고급 한국어 독해, 한국문학, 한국의 현대문학과 영화, 현대 미디어 등이 있으며 모든 필수 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한국어 아너[Honors in Korean] 과목을 이수할 수 있다.

현황

6명의 전임교수가 럿거스대학교의 아시아 언어 문화학과에서 한국어 전공 강의를 하고 있다. 한국어 초, 중, 고급반과 한국 문화, 한국 역사, 종교 등 전반에 걸친 교육과 연구를 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 석사과정을 개설하여 수료생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졸업생들은 뉴저지 내 각 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교사로 활동 중이다.

참고문헌
  • 「뉴욕 한인 이야기-럿거스대 한국어 과정 창설 주역 이영빈」(『뉴욕 한국일보』, 2012. 8. 2.)
  • 럿거스대학교 한국어 강의(https://asianstudies.rutgers.edu/86-korean-studies)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