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원어 항목명 Korean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한자 -大學校韓國學硏究所
영문 Korean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세계)/기관 단체(일반)
지역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스트리트 1730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81년
현 소재지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스트리트 1730
원어 항목명 Korean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원어 주소 CGIS South Building 2nd Floor, 1730 Cambridge Street, Cambridge, MA 02138, USA
영문 주소 CGIS South Building 2nd Floor, 1730 Cambridge Street, Cambridge, MA 02138, USA
성격 한국학 연구소
설립자 페어뱅크 동아시아연구소
전화 617-496-2141
홈페이지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https://korea.fas.harvard.edu)
정의

1981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버드대학교에 설립된 한국학 연구소.

설립 목적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해외 한국학 진흥을 위해 ‘페어뱅크 동아시아연구소[Fairbank Center for East Asian Research]’의 부설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81년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로 설립되었다. 1946~1948년 미군정청 문관으로 근무하였던 교수 에드워드 와그너[Edward W. Wagner]가 1993년까지 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았다. 에드워드 와그너가 소장으로 재임하였던 기간 동안에 ‘코리아 콜로키움(Korea Colloquium)’이 처음 시작되었으며, 학생들을 위해 처음으로 여름 여행 경비 장학금이 수여되었다. 1993년에 교수 카터 에커트[Carter J. Eckert]가 제2대 소장으로 역임하면서 연구소는 크게 확장되어 다양한 학생 장학금과 보조금, 박사 후 과정 장학금, 대학원생 장학금 등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생겨났다. 또한 같은 해에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페어뱅크 동아시아연구소’의 한 부설 기관에서 독립 연구소로 승격되었다. 2004년에는 제3대 소장으로 교수 데이비드 맥켄[David R. McCann]이 취임하였다. 데이비드 맥켄은 1997년 한국국제교류재단 기금 교수로 최초 발탁되었고, 소장 취임 후에는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을 위한 프로그램 위주의 활동을 확장하였다.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설립 30주년인 2011년에 한국사 전공 교수 김선주가 제4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는데,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한국학연구소장을 맡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코리아 콜로키움 시리즈를 통해 한국학의 다양한 주제와 관련한 특강을 주관하고 있는데, 이러한 행사는 하버드대학교 부근 지역은 물론 타 지역의 한국학 연구자들과 한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결집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한국과 미국의 관계를 주로 토론하는 모임인 ‘김구 포럼[Kim Koo Forum on U.S.-Korea Relations]’을 주관하고 있는데, 김구 포럼은 한국의 기업 빙그레의 후원을 받아 2005년에 창립되었다. 연구소에는 여러 교환교수들과 관련 학자들이 방문 학자 자격으로 상주하고 있기도 하다. 이외의 연구소 활동으로 한국학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와 학부생 및 대학원생 지원 프로그램, 그리고 한국영화 상영과 전시회를 비롯한 각종 문화 행사가 있으며, 10년 이상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열리고 있는 ‘하버드 여름 학교[Harvard Summer School]’를 운영하고 있다.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출판 사업으로 다양한 주제의 한국학 관련 저서 출판을 지원하고 있다. 학술지 『Azalea: Journal of Korean Literature&Culture[진달래: 한국 문학과 문화 연구]』를 연 1회 발간하고 있는데, 한국어 원본의 번역은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을 받아 왔다. 또한 다양한 한국학 관련 워크숍과 학술 대회를 개최하고 있는데, 2020년에는 한국전쟁 70주년[「The Korean War at 70: Revisiting the Role of Intelligence」]을 주제로 학술 대회가 열렸다.

현황

2022년 현재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은 교수 니콜라스 하크니스(Nicholas Harkness)이며, 소장 외에 5명의 교수진이 소속되어 있다. 하버드대학교의 한국학 연구 중심지인 ‘동아시아 언어와 문화학과[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Department]’는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의 절대적인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미국은 물론 서구권에 설립된, 한국학만을 연구하는 최초의 기관으로 하버드대학교 내에서 한국학 발전과 지원에 힘쓰고 있다. 학내 여러 연구 센터나 학과들과 연계해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북미와 유럽, 아시아 전역의 여러 기관 및 학자들과 광범위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한국학 진흥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참고문헌
  • 뉴잉글랜드 미주 한인이민 백주년 기념사업회, 『뉴잉글랜드 한인사』(선학사, 2004)
  • 이광규, 『뉴욕 한인사회의 현상과 교육문제』(북코리아, 2011)
  • 김성규, 「하버드대학의 동아시아 연구소들: 연혁과 특징」(『역사문화연구』29,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 「하버드대(大) 한국학연구소장에 첫 한국인교수」(『연합뉴스』, 2011. 8. 30.)
  • 주보스턴 총영사관(https://overseas.mofa.go.kr/us-boston-ko/brd/m_4629/view.do?seq=1342309)
  •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https://korea.fas.harvard.edu)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