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Modern Buddhism of America |
---|---|
한자 | 美洲現代佛敎 |
영문 | Modern Buddhism of America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세계)/연속 간행물 |
지역 | 미국 뉴욕주 플러싱 머레이 스트리트 33-05 |
시대 | 현대/현대 |
창간 시기/일시 | 1989년 10월 |
---|---|
제작|간행처 | 미국 뉴욕주 플러싱 머레이 스트리트 33-05 |
원어 항목명 | Modern Buddhism of America |
원어 주소 | 33-05 Murray Street, Flushing, NY 11354, USA |
영문 주소 | 33-05 Murray Street, Flushing, NY 11354, USA |
성격 | 격월간지 |
창간인 | 김형근 |
발행인 | 김형근 |
판형 | 인쇄물 |
총호수 | 통권 361호[2021년 12월 14일] |
URL | 미주현대불교(https://m.cafe.daum.net/mobuddhism) |
1989년 미국 뉴욕에서 한국 불교와 한국 불교 문화를 포교하기 위해 창간한 격월간지.
『미주현대불교』는 미국에서 유일한 불교 한글 정기간행물이며,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판매되는 격월간지이자 현지 불교 관련 학문과 문화의 중심체이다.
『미주현대불교』는 잡지 형태의 인쇄물로 제공된다.
5분 명상과 초대 칼럼, 수행과 포교하는 사부대중(四部大衆), 신심을 깨치는 글, 특별 기획, 책 소개, 이달의 명상, 불사의 현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 기획은 불교와 관련된 도서나 강연 정보, 번역 등과 관련한 내용을 싣는다.
『미주현대불교』가 발행됨으로써 미주 한국 불교의 사찰 주소록이 정확하게 작성되었고, 로스앤젤레스[LA]와 뉴욕, 시카고, 하와이, 워싱턴 D.C. 등으로 고립, 분산적으로 활동하던 한국 불교계가 한데로 묶여 서로 횡적으로 연결되었다. 창간호에서 승려 서경보의 도미 연도인 1964년을 미주 한국 불교의 시작으로 선포한 바 있다. 이에 미주 지역의 사찰, 신행 단체, 그리고 승려와 재가불자들의 연혁과 활동 사항을 기록하고 정리하여 미주 한국 불교사의 기록을 연대 순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미주 한국 불교사에 관한 중요한 사진 자료, 책을 비롯해 미국에서 활동하였던 많은 승려들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연꽃에 관련된 보도를 시작하여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워싱턴 D.C.에 있는 미연방 수생식물원과 공동으로 ‘연꽃과 아세아 문화축제’를 주최하였다. 2013년 3월 ‘조계종 미동부해외특별교구’와 공동으로 ‘미주한국불교의 미래 방향을 모색하는 세미나[Seminar of The Future Perspectives of Korean Buddhism in The United States]’를 개최하고 진행하였으며, 2004년에는 미주의 여러 지역에서 800여의 명 승려, 불교인이 참가한 가운데 뉴욕에서 『미주현대불교』 주관으로 ‘한국불교 미주전법 4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하였다. 2019년 로스앤젤레스 LA 고려사에서 개최된 30주년 행사는 미국에서의 한국 불교 50년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행사로 진행되었다. 『미주현대불교』는 한국 사찰뿐만 아니라 샴발라센터를 비롯한 미국 백인 불교계 활동, 티베트, 일본, 중국, 베트남, 남방 불교 국가, 몽골, 부탄 등 미주에서 활동하는 많은 국가들의 불교 활동을 취재하고, 보도하고 있다. 2021년 12월 14일 통권 361호가 발행되었다.
현재 움츠러든 출판 환경을 반영하듯 잡지의 미래가 불투명한 가운데, 『미주현대불교』는 미주 한인 사회에서 한국 불교인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면서 심리적인 연대감을 형성하게 하고, 자긍심과 용기를 심어 주고 있다. 또한 꾸준한 번역 활동으로 미주와 한국 불교계의 교량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국의 전통문화를 미국에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