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인 입양 기관

한자 美國韓人入養機關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세계)/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정의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인 입양 기관.

개설

미국의 한국 아동 입양은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시작되었으며, 월드비전 인터내셔널(World Vision International)과 국제사회봉사회[International Social Service, ISS]가 대표적이다.

미국의 한국 아동 입양과 입양 기관

미국의 한국 아동 입양은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미국의 대표적인 입양 기관은 월드비전 인터내셔널이다. 월드비전 인터내셔널은 이주자와 난민, 추방된 사람들에 대한 지원을 주력사업으로 활동하고 있었으나, 한국전쟁 직후 한국 아동의 미국 입양에 관한 지원으로 주 사업 방향을 전환하였다. 월드비전 인터내셔널과 협업한 국내 기관은 해리 홀트(Harry Holt)가 1956년에 설립한 홀트아동복지회[구 홀트해외양자회]이다. 월드비전 인터내셔널의 설립자인 밥 피어스(Bob Pierce)와 해리 홀트는 이승만 정부와 대리 입양에 합의하였다. 그 결과 1950~1960년대 중반까지 한국전쟁 고아들이 미국 백인 가정에 대규모로 입양되었다. 미국은 1961년에 대리 입양을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였지만, 한국의 「고아입양특례법」을 근거로 한미 간 입양 형태는 유지되었다. 또한 「난민법」의 쿼터제로 입양아 숫자가 제한되어 있었는데 「이민법」상 ‘고아’ 규정이 생기면서 숫자 제한을 두지 않게 되었다.

1960년대 중반에는 새로운 입양 기관이 등장하였다. 한국의 대한사회복지회[구 대한양연회, 한국아동양호회]는 1967년에 국제사회봉사회의 업무를 인수받아 해외 입양을 시작하였다. 미국의 국제사회봉사회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에 있는데, 이 기관을 통해서도 한국의 수많은 아동들이 미국의 가정에 입양되었다. 미국의 입양 기관을 통해 한국 아동은 당시 한인 거주 빈도가 낮은 지역인 미네소타주와 뉴욕주, 미시간주 등의 7개 주에 입양되었다.

참고문헌
  • 캐슬린 자숙 버퀴스트·M 엘리자베스 봉크, 『한국 해외 입양』(뿌리의 집, 2015)
  • 대한사회복지회(https://www.kws.or.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