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인 사회 고령화

한자 美國韓人社會高齡化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세계)/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정의

미국 한인 이민자의 정체와 저출산으로 인한 고령화 현상.

미국 한인 사회의 고령화 현상

미국 한인 사회의 고령화는 한인 이민자의 정체와 출산율 저하의 영향으로 일어나고 있다. 저출산의 문제는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 등 세계 여러 국가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교육 환경과 노동환경, 생활수준 등의 다양한 문제가 거론된다. 미국 내 한인 이민자의 정체는 미국의 1965년 「이민 및 민족법」 개정 이후 한국인 이민자의 수가 1980년대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 추세로 전환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민자 수는 1970년에 1만 명을 돌파한 후 계속 증가하여 1987년에 3만 5849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 시기 한인 이민자가 2021년 현재의 노년층과 고령층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 퀸스칼리지 재외한인사회연구소[The Research Center for Korean Community, Queens College, CUNY]의 2012년 조사 보고에 따르면, 60세 이상 한인 수는 10만 1289명으로 노인 세대주가 51%, 자녀와 거주하는 노인이 23%, 독거노인이 16.5%, 단체생활하는 노인이 3.5%라고 한다. 이민 1세대로 구분되는 이들은 미국의 학교 교육을 받은 1.5세대나 2세대와 달리 미국 문화에 동화되지 않는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영어를 사용하는 자녀 세대와도 소통이 힘들다. 일례로 2014년에 일어난 ‘맥도날드 사건’은 이민 1세대가 겪고 있는 ‘노인 소외’ 문제로 언급된다. 미국 내 한인 사회는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한인 사회를 지탱해 왔던 시스템을 점검해야 할 상황에 직면해 있다. 각 지역의 한인회 및 한인 기관에서는 고령화 대책 마련을 주요 사안으로 부각하고 있으며, 고령층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참고문헌
  • 「맥도널드서 쫓겨난 한국노인, 그 뒤엔 한인(韓人) 고령화」(『조선일보』, 2014. 1. 18.)
  • 「LA한인사회도 ‘100세 시대’ 코앞에 왔다」(『미주중앙일보』, 2015. 4. 30.)
  • 「한인 평균소득 높지만 노년층 빈곤율 심각」(『미주한국일보』, 2019. 12. 13.)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