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Model Minority |
---|---|
한자 | 模範-少數人種 |
영문 | Model Minority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세계)/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미국 |
시대 | 현대/현대 |
원어 항목명 | Model Minority |
---|
미국에서 성공한 아시아계 이민자들을 묘사한 표현.
‘모범적인 소수인종[Model Minority]’은 미국 사회에서 아시아계 이민자를 묘사한 표현이다. 특히 백인 주류사회에서 아시아계 이민자를 근면 성실, 비폭력적, 우수한 학업성적 등의 이미지에 빗대어 ‘모범적 소수인종’이라고 묘사한 것이다.
미국은 이민자들로 구성된 다인종·다문화사회이지만 인종 간의 차별 문화가 뿌리 깊게 박혀 있다. 미국에서 백인은 주도권을 쥔 주류이며, 다른 인종에 대한 편견을 끊임없이 드러내고 있다. 백인 주류사회는 아시아계 이민자를 근면 성실하고, 비폭력적이고, 학업 성적이 우수하다는 이미지에 빗대어 ‘모범적인 소수인종’이라고 묘사하고 있다. ‘모범적인 소수인종’과 함께 ‘황화[Yellow Peril]’라는 표현도 사용되고 있는데, 모두 백인 주류사회의 관점에서 묘사된 것이다. ‘모범적인 소수인종’이 긍정적인 입장이라면 ‘황하’는 주류사회를 위협하는 존재로서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것이다. 미국 내 한인 사회에서는 ‘황하’뿐만 아니라 ‘모범적인 소수인종’이라는 표현 또한 백인 주류사회의 편견을 드러낸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미국 내 흑인 민권운동이 활발하였던 1960~1970년대에 백인 주도 언론이 흑인 민권운동을 폄하하려는 의도로 아시아계 이민자의 성공 사례를 기사화하면서 퍼뜨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에도 ‘모범적인 소수인종’은 이질감이 큰 국가들을 아시아로 규범 짓고, 경제적 성공의 편차가 크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평균’이라는 기준만으로 아시아계 이민자에 대해 편견을 갖게 만드는 인종차별적인 표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